북·미 공식국가 연주에 박수갈채 터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무대 양옆에는 성조기와 인공기가 나란히 게양됐고 무대와 객석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오색 꽃다발이 수놓고 있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북한 측 여성 사회자가 무대에 나와 음악회 시작을 알리는 인사말을 끝내자 악기를 든 뉴욕필 단원 105명이 하나 둘씩 무대에 모습을 드러냈다. 오케스트라가 입장을 끝낸 다음 악장(樂長) 글렌 딕테로가 박수갈채를 받으며 맨 나중에 들어와서 조율하는 순서도 생략됐다.

지휘대에 오른 로린 마젤이 북한 국가‘애국가’를 연주하자 객석에 앉아 있던 관객은 일제히 기립했다. 첼로 단원을 제외한 모든 단원들도 자리에서 일어나 연주했다. 북한‘애국가’에 이어 미국 국가‘성조기여 영원하라’가 끝나자 박수갈채가 터져 나왔다.

26일 오후 6시 6분 평양 동평양대극장(1500석)에 막이 오른 뉴욕 필하모닉(음악감독 로린 마젤)의 역사적인 평양 공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미국 뉴욕필하모닉(교향악단)이 공연하는 동평양대극장


무대 뒤로 퇴장하지 않고 객석 쪽으로 몸을 돌린 로린 마젤은 여성 통역자의 도움을 받아 영어로“평양에서 연주를 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운을 뗀 뒤 뉴욕필이 세계 초연했던 드보르작의‘신세계 교향곡’에 대해 설명했다. 그런 다음 우리말로 “좋은 시간 되세요”라고 말했다.

이어서 연주된 곡은 드보르작의‘신세계 교향곡’. 이어서 거슈윈의‘파리의 아메리카인’이 연주됐다. 앙코르곡으로는 레너드 번스타인 '캔디드 서곡'을 지휘자 없이 연주한데 이어 한국 민요‘아리랑’도 연주했다.

동평양대극장은 평양에 있는 대부분의 극장처럼 좌우 발코니석이 없다. 뒷편 2∼3층에 그리 깊지 않은 발코니석이 있고 1층 뒷편에는 음향 조정실과 조명실이 배치돼 있다. 무용 등 다양한 공연예술이 가능한 다목적홀이다. 따라서 오케스트라 공연을 위해서는 음향 반사판이 필수적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이번 공연을 위해 새로 설치한 것으로 보이는 음향 반사판. 뉴욕필 음향 스태프는 이번 공연에 앞서 평양을 방문해 극장 음향시설 개보수를 위해 자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객석 좌우 벽면과 음향 반사판을 따뜻한 느낌의 연한 나무색으로 통일했고 객석 벽면에도 음향의 확산을 위해 요철 무늬를 가미했다.

무대 위에는 원형 5개의 원반형 투명 플라스틱을 설치해 단원들이 자기 소리와 동료 연주자의 소리를 잘 듣도록 하는 모니터링 기능(stage support)를 강화했다.

관객 출입구는 객석 뒷쪽이 아니라 좌우에 나있다. 북한 극장에서 VIP석은 객석 중앙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통로 바로 뒷열이다. 다리를 쭉 뻗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로에 탁자를 놓고 그 위에 음료수를 놓고 공연 도중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이번 뉴욕필 공연에서는 통로에 별도의 탁자를 놓지 않았다. 객석 통로에는 붉은색 카펫이 깔려 있고 객석은 짙은 녹색으로 돼 있다.

이번 공연을 한반도 전역에 생중계한 MBC TV의 서울 스튜디오에는 지난 2002년 KBS 교향악단의 평양 봉화예술극장 공연을 이끈 지휘자 박은성씨가 해설자로 나와 눈길을 끌었다.

이장직 음악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