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색출 스스로 하자" 의류협회서 단속 나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의류업계에 만연한 디자인과 브랜드 베끼기 행위에 대해 업계가 자율 단속에 나섰다.

한국의류산업협회는 2일 서울 삼성동 협회에서 '지적재산권 보호센터' 현판식을 갖고 활동에 들어갔다.

협회는 소속 회원 업체로부터 단속권을 일괄 위임받아 협회 직원 34명이 단속 활동에 나서고 회원사들의 자발적인 신고를 접수하기로 했다.

협회는 또 국내 상표뿐 아니라 외국 유명 상표에 대한 상표권 침해 행위도 단속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

한국이 세계 5위의 섬유 수출국이지만 외국 상표 도용 사례가 많아 국가 이미지를 해친다는 판단에서다.

협회가 가짜 상표 단속에 나선 이유는 업체들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들여 독창적인 브랜드를 개발해도 경쟁 업체가 브랜드를 무단 도용하는 바람에 기업 이미지와 매출에 큰 타격을 받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2년 기준으로 상표 위조 단속 현황을 보면 의류가 가장 많은 8800여건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했다.

김용철 지적재산권 보호센터 소장은 "상표권을 침해하면 법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