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영어전용 교사 2만여명 채용'…'한국 갈까' 한인들 기대감

중앙일보

입력

'우리 애들(1.5세.2세) 모국 경험도 하고 돈도 벌고.'

대한민국이 최근 초.중.고생들의 '영어교육'을 놓고 사회적 담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미주 한인사회가 이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 '영어 경쟁력'이 확고한 미주지역 한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오는 2013년까지 영어과목을 영어로 수업하는 '영어전용교사(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2만3000명을 신규채용한다고 밝혔다. 해당 교사들은 초.중.고교에서 영어수업을 영어로만 가르치게 된다.

한인들이 주목하는 부분은 교사의 자격조건과 대우.혜택 등이다. 특히 1.5세.2세 자녀를 둔 일부 한인들의 경우 자녀가 경험삼아 한두해 정도 모국에서 영어교사로 일하는 것도 괜찮지 않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영어가 익숙한 은퇴 노년층은 인생의 황혼을 한국에서 보내며 아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감도 보였다.

인수위에 따르면 영어전용교사가 될 수 있는 길은 ▷영어교육과정(TESOL) 이수자 ▷영어 전공 석사학위 이상 취득자 ▷전직 외교관.상사 주재원 같은 전문직 등이다.

단순히 영어를 잘한다고 해서 될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영어전용 보조교사'도 있다. 이들은 특별한 자격이 없어도 영어가 능통하면 될 수 있다. 해외동포가 주요 대상이고 대학생 주부 등도 포함된다.

보조교사는 방과후 학교나 재량수업 때 영어를 가르치며 교통비와 강사비를 지원받는다. 대학생은 학점도 인정받는다.

서인규(52)씨는 "2세 아이들이 대학생활 중 1년 정도 휴학하고 한국에서 영어 선생님으로 일하면 한국을 배우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윤인애(48.여)씨는 "앞으로 한국의 영어교육 시장이 대폭 확장될 것 같다"며 "내년에 대학생이 되는 둘째 아이(1.5세)가 영문학과를 간다고 해서 '돈 되는 학과'가 어떻겠냐고 농담삼아 말했는데 영어전공해서 한국서 교사하고 학원강사하면 미국보다 수입이 더 많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고 말했다.

소셜워커로 일하다 은퇴한 김명호(63)씨는 "고향이 충주인데 미국서 무료하게 지내느니 고향 근처 학교에서 영어선생으로 일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석하 기자

[USA중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