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회장 ‘보복폭행’ 사건 무마 3명 실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서울경찰청 간부들의 잘못도 큰데 이들은 기소조차 되지 않아 피고인들을 선처할 여지가 있다.”

 24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524호 법정. 형사2단독 구회근 판사는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보복 폭행 사건을 무마하려 한 혐의로 기소된 최기문 전 경찰청장 등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이렇게 말했다. 경찰 고위직 간부들이 입건유예 처분된 것을 비판한 것이다.

 구 판사는 이날 최 전 청장(한화그룹 고문)과 장희곤 전 남대문서장에게 징역 1년을, 강대원 전 남대문서 수사과장에게 징역 10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구 판사는 “경찰 수사권이 돈과 권력에 의해 좌지우지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 주기에 충분해 엄중한 형을 선고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장 전 서장과 강 전 수사과장은 순간적인 판단 실수로 한화의 부정한 로비에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항소심에서 자유롭게 주장과 입증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유로 이들을 법정 구속하지는 않았다.

 지난해 3월 8일 발생한 한화 김승연 회장의 보복 폭행 사건은 경찰 조직에 씻을 수 없는 오명을 남겼다.

 사건 발생 나흘 뒤 한화그룹 고문인 최기문 전 경찰청장은 고교 후배인 장희곤 당시 남대문경찰서장에게 전화를 걸어 사건 무마를 부탁했다. 장 서장은 강대원 남대문서 수사과장에게 한화그룹 현장에 나가 있는 수사팀을 철수시키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에서 김승연 회장 사건에 대한 첩보를 입수하고 자체 수사에 착수했다. 최 전 청장은 다시 홍영기 당시 서울경찰청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수사를 중단시키거나 이미 청탁을 해놓은 남대문서로 이첩시킬 것을 부탁했다. 홍 청장은 광역수사대를 지휘하는 김학배 수사부장과 한기민 형사과장에게 이를 지시했고, 사건은 광역수사대 형사들의 반발 속에 남대문서로 넘어갔다.

 이후 최 전 청장과 장 전 서장, 강 전 수사과장은 직무유기·직권남용 혐의로 기소됐다. 하지만 홍 전 청장과 김 전 수사부장, 한 전 수사과장은 검찰에서 입건유예 처분을 받았다.
 
박성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