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인상 사회적합의 조율 汎노사대표 회동-노총입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노총은 경총등과의 임금등 「사회적합의」 복귀여부를 놓고 내부의견이 통일되지 않은 가운데 정부.사용자단체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박종근(朴鍾根)위원장을 중심으로한 노총수뇌부는 최근들어 사회적 합의복귀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
朴위원장은 지난달 25일 기자간담회에서『기업별 노조체계의 한계속에서 정책.제도개선을 통한 노동자의 정치.경제.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금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朴위원장의 발언내용이 알려진 직후인 지난달 26일 몇몇 산별연맹을 중심으로 노총수뇌부를 성토하는 분위기가 조성됐다고 전해진다.
반발의 배경에는「사회적합의는 정부의 임금억제정책을 합리화시켜주는 도구」라는 일선조합원의 불신감, 민주노총세력과 조직경쟁을벌여야 하는 산별및 단위조직 간부들의 불안감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총이 지난해말 5백여명의 단위노조간부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 임금을 포함한 사회적합의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20.5%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부는 사회적합의의 효용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이의 존속을 위해 상당 노력을 기울일 용의가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결국 노총의 사회적 합의복귀가능성은 정부의 「성의표시」 정도와 이를 무기로 일선조합원을 설득해 내는 노총지도부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李夏慶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