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부서로 강등 교육부 … 다른 부처 업무 간여 못하게 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부총리 부서에서 장관 부서로 ‘강등’되는 교육인적자원부 직원들은 6일 충격에 휩싸였다. 휴일인 이날 출근한 직원들은 “예상은 했지만 이렇게 빨리 결정될지 몰랐다”며 당혹스러워했다. 2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업무보고에서 없어질 부서로 지목된 대학지원국의 한 관계자는 “단순히 교육 수장의 지위만 강등되는 게 아니라 대대적인 축소 등이 있을 것 같다”고 걱정했다.

부총리에서 장관 부서로 바뀌면서 생기는 가장 큰 변화는 교육부가 다른 부처의 업무에 간여할 수 없게 된다는 점이다. 교육부총리는 정보통신부·산업자원부·노동부·문화부 등 20여 개 부처가 참여하는 인적자원개발회의를 주재하며, 인적자원 업무를 총괄·조정해 왔다.

이번 강등 조치로 직격탄을 맞는 곳은 지난해 7월 공무원·민간 전문가 등 100여 명으로 구성돼 출범한 인적자원정책본부다. 김광조 본부장은 “국무조정실 기능까지 축소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을 보면 인적자원 업무를 청와대 등으로 가져 가려는 것 같다”며 “인적자원 조정 기능은 기구 개편과 관계없이 중요하므로 새 정부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2001년 1월 DJ 정부에서 부총리 부서로 격상된 이후 지난 8년간 역대 교육부총리의 영(令)은 형편없었다는 게 교육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앙대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이희수 원장은 “교육부총리는 예산 편성 권한이 없었으며, 이 때문에 각 부처는 이해 관계가 걸린 민감한 사안만 나타나면 회의에 참석하지 않거나 업무 협조에 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기구 축소는 초·중등 업무를 담당하는 학교정책실, 시·도교육청의 지방교육 업무를 조정하는 지방교육지원국, 대학 입시 및 학사 업무를 담당하는 대학지원국 등도 줄줄이 폐지 또는 축소 조정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노무현 정부 5년간 몸집이 더 커졌다. 차관보와 학교정책실 산하에 교육과정정책관 자리가 생겨났다. 인하대 이기우 교수는 “일선 교육현장을 지원하기는커녕 오히려 관리·감독 기능만 더 키웠다”고 말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