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림기계 부도처리의 전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대표적인 유망 중소기업으로 꼽혔던 광림기계(회장 尹昶懿)가 경영부진에 따른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최종 부도처리 돼존망(存亡)의 기로에 섰다.
광림기계는 尹회장의 「종업원 지주제를 통한 無소유경영」등 독특한 경영방식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아왔으나 쓰레기압축차 신기술개발등과 관련한 동종(同種)업체와의 법정다툼과 「경영비리」소문에 휘말려 경영에 타격을 받았다.
광림기계는 실제 경영비리와 관련된 투서로 92년부터 국세청.
감사원등 사직당국으로부터 조사를 받게 되자 상당분량의 답변자료를 만드느라 정상적인 경영을 할수 없었다고 회사관계자들은 전했다. 게다가 국내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해온 특장차사업에 수산중공업.한일특장등이 속속 참여해 시장점유율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수익보다는 일감확보를 위한 저가수주도 많아져 경영수지가나빠졌다는 것이다.
특히 국산 신기술로 개발한 관절식 크레인과 20입방m급 압축쓰레기차를 수의계약을 통해 납품해왔으나 작년 4월 정부지원 기간이 만료돼 관납도 여의치 않게 됐다.
이런 가운데 93년 10월 사업다각화의 일환으로 인수한 브레이커(땅을 파는 장비) 생산업체인 우신정공이 원래부터 부실기업인데다 기술축적도 빈약해 제대로 사업을 전개하지 못한채 대규모손실을 입은 것도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92년 대만에 수출키로 됐던 1백80대의 소방차가 대만과의 단교조치로 1년여동안 수출길이 막혀 40억원상당의 재고(在庫)가 묶여 자금회전에 압박을 받았다.
93년 장외등록법인으로 상장된 계열사 광림특장차의 주식을 90년 6월 종업원에 나눠주면서 95년께 공개할수 있다는 내용의청사진을 제시했지만 최근들어 이의 실행이 불투명해지면서 임직원들의 동요가 일어난 것도 회사의 운영을 어렵게 만들었다.
장외 주식가격이 3천원대로 떨어지자 이에 불만을 품은 일부 임직원들이 빠져나가 회사를 꼬집는 투서를 관계요로에 보내기도 했다. 이같은 회사안팎의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해 지난해 6월부터는 임직원 월급조차 제대로 줄수 없는 형편까지 이르러 광림기계의 부도설이 꼬리를 물었다.
회사가 벼랑에 몰리게 되자 尹회장은 마지막 수단으로 작년 12월초 사회저명인사들이 주축이 된 「광림살리기 서명운동」까지 이끌어 내기도 했다.
「동종업체의 음해로 사업을 제대로 할수 없었다」는 여론 형성에 한가닥 기대를 걸었지만 이것도 수산중공업등 동종 특장차 업체들의 신문지상 광고를 통한 반격에 부닥쳐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또 주거래 은행에 담보로 맡긴 부동산을 재평가해 급한대로운전자금으로 돌리려고 했으나 17억원 규모의 대출여력분이 종업원 임금으로 충당되는등 이것마저도 어렵게되자 한때 J社에 회사를 매각하는 방안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尹회장은 지난 9일 특장차업체들의 분쟁을 조정하는 경실련(經實聯)주최의 공청회에 참석해 『경영악화의 책임은 전적으로 내게있다.그러나 막대한 개발비를 투입해 만든 제품을 정부시책에 따라 수의계약을 통해 납품했는데 특혜라고 시비를 거는 풍토에 환멸을 느낀다』고 말하는등 최근의 불편한 심경을 내비쳤다.
기술개발.자율경영.종업원지주제등을 통해 새로운 기업운영의 전형을 이루겠다던 尹회장과 회사관계자들이 부도이후의 회생방안을 어떻게 풀어갈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高允禧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