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뒤 소폭 개각 재경부 출신 낙하산 인사 차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은 22일 "4.15총선이 끝나면 소폭의 개각이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새로운 국회와의 관계를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鄭수석은 중앙일보의 '포브스 코리아' 3월호와의 인터뷰에서 "여소야대 국회가 정부의 발목을 잡는 비생산적인 일을 거듭해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이 해임됐고 정치개혁이라는 화두를 내세우다 보니 불가피하게 물러난 사람도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鄭수석은 공무원들의 퇴임 후 공기업 인사에 대해 "한두번은 몰라도 서너번씩 자리를 독점하는 것은 문제"라며 "산하단체장이나 협회장, 금융기관장 등을 싹쓸이하다시피 하는 재경부 출신 관료의 낙하산식 인사를 규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난해 도입한 다면평가제도에 대해 "부처 내 영역.지역별 이기주의가 남아 있어 담합이 이뤄지고 인기투표식으로 흐르는 경향이 없지 않아 수술 대상"이라며 "담합할 수 없도록 갑자기 평가자를 구성한다든지, 별도의 공간에 모아 로비를 받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그는 "중앙인사위에서 추진 중인 정부인사정책지원시스템(PPSS)은 일은 신통치 않은데 '마당발'이라서 승승장구하는 사람을 걸러내는 장치가 될 것"이라며 "민간기업의 CEO(최고경영자)를 과감히 정부 부처에 데려와 정.관.학계에 집중된 인력충원 채널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