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은행식 출제 앞당기고 이의신청 심사제도 손질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대학수학능력시험 정답 번복 이후 수능 출제와 이의신청 심사과정을 보다 철저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오재응 한양대 (기계공학)교수는 "수능 출제위원을 선발하면서 특정 우수 대학 교수나 출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배제하고 있어 출제위원의 전문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 교수는 "전년도 출제위원의 3분의 1 이상을 유임시켜 연속성을 확보하거나 별도의 '수능 공정관리위원회'를 둬 임기가 보장된 관리위원이 연속성.전문성을 갖고 수능 출제 과정 전반을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검토 중인 문제은행식 수능 출제의 도입 시기를 앞당기는 것도 수능 출제의 오류를 방지하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출제 과정의 개선뿐만 아니다. 수능 정답 이의신청 심사과정에서 외부 의견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수능 정답 이의신청 처리는 과목별 이의심사실무위원회의 심사와 본심사로 나뉘어 진행된다. 실무위원회가 먼저 이의신청된 문항에 대해 논의한 다음 심층점검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만 본심사에서 재논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실무위의 구성이 출제와 관련된 내부 인사 중심이어서 이의가 받아들여지기 힘든 구조다. 이번에 문제가 된 물리 과목도 실무위에 기획위원.출제위원 7명 등 평가원 내부 인사 10명이 포함됐고 외부 교수는 한 명뿐이었다.

한국물리학회 김정구 회장은 "이번 문제의 오류는 출제와 무관한 제 3자가 객관적으로 들여다 봤으면 금방 걸러낼 수 있는 사안이었다"며 "출제위원 집단이 아닌 일반 교수나 교사로 이의신청 심사단을 구성해 심사의 공정성.객관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배노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