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PI 의무화, 한국·캐나다 FTA에 걸림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테리 투할스키(사진) 주한 캐나다 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국의 무선 인터넷 플랫폼(WIPI) 장착 의무화 정책에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 그는 “캐나다산 복합통신기기 ‘블랙베리’가 WIPI 정책 때문에 한국 시판에 제약을 받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WIPI 정책을 철회하지 않으면 현재 진행 중인 한국·캐나다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랙베리는 캐나다 리서치인모션(림)이 개발한 단말기로 휴대전화·e-메일·인터넷·블루투스·무전기·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현재 100여 개국에서 920여만 명이 사용 중이다.

림사는 지난해부터 한국 내 블랙베리 시판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정통부가 2005년 4월 이후 국내 출시되는 휴대전화 및 PDA 중 무선 인터넷 기능을 지닌 제품에 대해선 WIPI 탑재를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블랙베리의 e-메일 서비스 등이 한국 내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아 WIPI 탑재가 불필요한 데도 이를 강제하는 것은 문제라는 게 그의 지적이다.

투할스키 회장은 “일부 한국산 PDA는 WIPI를 탑재하지 않은 채 버젓이 팔리고 있다”며 “WIPI 정책은 외국산 단말기의 수입을 억제하는 기술 장벽으로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세계 비즈니스맨들이 많이 쓰는 블랙베리가 한국에선 사용이 제한되다 보니 외국인이 사업 활동하는 데도 불편을 겪고 있다”며 “한국이 금융 허브(중심지)가 되려면 WIPI 의무화 정책을 철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문광립 중앙데일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