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특검에 대한 특검 나와야 할 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민주당 조순형 대표는 17일 오전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 대표실로 들어서면서 혀를 끌끌 찼다. "특검에 대한 또다른 특검이 나와야 할 판이다."

趙대표는 전날 김진흥 특검팀의 이우승 특검보를 사퇴하게 만든 현 특검팀과 검찰의 행태를 싸잡아 비난했다.

趙대표는 자리에 앉은 뒤에도 "특검 시한이 얼마 남지 않았는 데 제대로 밝혀낸 게 없고 최도술씨는 아직 소환조차 안했다"며 "사퇴한 특검보에 따르면 (검찰의) 수사방해도 있었다고 하니 국회 법사위에서 철저히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용태 원내대표도 "만약 검찰의 사보타주가 있었다면 이는 엄청난 사건"이라고 가세했다. 김경재 상임중앙위원은 "중세시대 교황청처럼 특검이 면죄부만 주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회의 후 김영환 대변인은 "대다수 의원들이 '특검 무용론'에 공감을 표했다"고 전했다.

한나라당도 맞장구를 쳤다. 배용수 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검찰이 특검 수사에 조직적으로 개입하고 있고,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수사가 방해받고 있다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며 "노무현 대통령은 검찰로 하여금 특검에 적극 협조하도록 지시하고, 수사를 방해하고 지연시킨 관련자들을 엄중 문책하라"고 요구했다.

민주당은 내친김에 이 문제를 최대한 정치쟁점화하겠다는 심산이다. 盧대통령과 검찰을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는 호재라는 판단에서다. 당장 이우승씨를 국회 법사위에 출석시켜 진상을 따져보기로 했다. 김영환 대변인은 "법사위 논의 결과 현 특검이 수사 의지가 없는 것으로 밝혀질 경우 특검 교체까지 요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향후 대응전략에 대해서는 민주당 내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김경재 의원 등은 "새 특검을 도입하기보다는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새 특검이 출범해봤자 일정상 총선 전에는 수사 결과를 내놓기 어려운 만큼 정치적 실효성이 없다는 논리다. 반면 지난주 청문회에 대해서도 "알맹이 없이 의혹 제기에만 급급했다"는 당 안팎의 비판이 많았던 터에 또다시 국정조사를 추진할 경우 되레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