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核기술 유출 원조는 중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미국이 북한 등 제3세계에 대한 중국의 핵기술 유출에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리비아가 핵포기를 함으로써 중국이 파키스탄을 통해 북한.이란.리비아 등에 핵기술을 유출한 원조(元祖)국가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히 존 볼턴 미 국무부 군축 담당 차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미사일 및 핵개발을 차단하기 위해 중국을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에 참여시킬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16일 보도했다.

◇핵확산 원조는 중국=리비아가 미국에 공개한 핵개발 문건을 조사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미.영 전문가들은 중국을 핵 유출 1차 국가로 지목하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사찰팀 전문가를 인용, 리비아의 핵탄두 설계도가 중국어로 작성돼 있고 그 내용도 중국이 1960년대 실험했던 핵무기와 유사한 기술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 설계도가 비록 구식이지만 탄도미사일 장착용 핵폭탄을 제조하기 위한 노하우를 담고 있다고 전했다. 영국의 핵확산 전문가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박사는 중국의 핵기술이 80년대 파키스탄을 통해 이라크와 리비아에 흘러갔다고 지적하고 "이란과 북한에도 전달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사우디아라비아 커넥션=볼턴 차관은 이번 주 베이징(北京)에서 중국의 PSI 참여 문제를 논의한다. 여기선 중국의 미사일 및 핵확산도 거론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PSI는 북한 등 불량국가들의 무기 및 마약 거래를 차단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공조체제다. 미 중앙정보국(CIA)은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확산 문제와 관련, 중국이 말과 행동이 불일치한다고 보고 있다. 미국의 한 관리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국제 미사일 도입 움직임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2000년 11월 자신들은 어떤 국가에도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미사일 개발을 돕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2003년 CIA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파키스탄.이란.사우디아라비아와 여전히 미사일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80년대 중반 중국에서 사정거리 4천㎞ 이상인 CSS-2 중거리 미사일 50~60기를 구입하려고 시도했다.

최원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