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북한 사설

국방장관 NLL 잘 지켜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평양 남북 국방장관 회담이 어제 7개 항의 합의문을 채택하고 끝났다. 남북 경협을 위한 군사적 보장조치를 차기 장성급 회담에서 서명하고, 6·25 전사자 유해를 공동 발굴키로 하는 등 의미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러나 핵심 쟁점인 공동어로수역 설정에는 북한의 무리한 요구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북측은 이번 회담에서 시종일관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무력화에 온 힘을 기울였다. 공동어로수역이라면 NLL을 중심으로 남·북 측 수역에 설치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당연하다. 그러나 북측은 이를 NLL 남쪽에만 설치하자고 고집했다. 이렇게 될 경우 이곳에서 조업할 북측 어선의 출입 통제 등을 둘러싸고 NLL이 실질적으로 무력화될 가능성이 농후해지기 때문이다.

 NLL과 관련한 이런 진통은 남북관계가 사회·경제적으로는 아무리 진전이 있어도 군사적 측면에선 가야 할 길이 아직 많이 남았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북측은 이번에 NLL에 대한 남측의 입장이 얼마나 확고한지 실감했을 것이다. 다음 회담 때는 NLL에 대한 미련을 깨끗이 접기 바란다. 이 정권도 ‘NLL이 영토선은 아니다’는 등 엉뚱한 소리는 더 이상 내지 말라.

 남북 군사 당국자 간 대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 자체는 바람직하다. 한반도에서의 진정한 평화는 군사적 대치를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남북이 이번에 군사적 긴장완화를 추진할 기구인 ‘군사공동위원회’ 구성에 견해를 같이한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내년에 3차 국방장관 회담을 하기로 한 것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제대로 시행될 수 있느냐다. 남북은 이미 1992년 이런 위원회를 구성, 군사 당국자 간 직통전화를 개설하는 등 각종 군사적 긴장완화 조치에 합의했으나 용두사미로 그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만큼은 각종 합의 내용이 착실히 이행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군사적 신뢰를 구축하는 데 최선의 방안인 6·25 전사자 유해 공동 발굴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