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대비 쌀수급대책 시급-농수산부 WTO출범후 農政보고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남북한이 통일되면 쌀생산이 부족한 북한의 주민까지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가 소비하는 물량 외에 매년 약 7백만섬의 쌀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대비,정부는 정부미 재고를 97년까지 6맥만섬 수준으로줄여나가되 그 후에는 재고분을 더 줄이지 않고 적정수준을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현재 정부미 비축물량은 8백만섬 수준이다.
농림수산부가 내놓은「세계무역기구(WTO) 출범이후의 농정대책」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의 경우 북한의 쌀 생산량은 1천2백60만섬인 반면 소비량은 2천30만섬으로 7백70만섬 정도가 모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보고서는 북한이 이처 럼 식량부족으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남북한 통일문제는 앞으로의 쌀수급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정책변수라고 전제,남북통일에 대비해 농업진흥지역의 생산기반을 조기에 완비해 쌀생산 능력을 높여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 다.
또 『97년까지 정부미 재고를 6백만섬 수준으로 줄여나가되 97년이후에도 통일에 대비,적정수준을 비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어 재고를 이 정도 유지,통일후 1~2년간은 남한의 비축미로 부족량중 상당부분을 충당하고 그 후에는 초다수(超多收)성 벼(슈퍼쌀)재배를 통해 수급안정을 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현재 남한의 쌀 재배면적은 1백15만7천㏊ 인데 반해 북한은 61만6천㏊에 불과하고 10a당 단수도 남한은 4백56㎏인데 비해 북한은 이의 70%수준인 2백95㎏에 머물고 있다. 〈朴義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