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조선일보 구독 거부' 주내 결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31일 전국의 사찰에서는 전날 조선일보 방상훈 사장의 조계종 총무원 방문이 화제가 됐다. 공교롭게도 검찰이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 신정아씨를 구속 기소한 지난달 30일 총무원을 찾은 방 사장의 행보에 대해 종단도 대응 방향을 놓고 내부 의견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 사장은 이날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智冠.75) 스님을 찾아가 '변양균-신정아 사태'로 인해 불거진 불교계 관련 보도에 대해 양해를 구했다. 이 자리에서 방 사장은 "언론의 권력화에 대해 항상 경계하고 있으며, 임직원에게도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스스로 점검하는 좋은 기회로 삼겠습니다"라며 "다시 한번 널리 양해를 바랍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지관 스님은 "언론은 우리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절대적인 존재입니다. 날카로운 칼은 이롭게 쓸 수도 있지만, 상처를 크게 입히기도 합니다"라고 운을 뗀 뒤 "최근 불자들의 상처도 크고, 알게 모르게 종단의 피해가 많습니다. 앞으로 약자를 사랑하는 자세로 언론의 역할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답했다.

지관 스님은 방 사장과 동행한 조선일보 강천석 주필, 김창기 편집국장 등과 약 30분간 대화를 나누었다. 조계종 총무원 측은 "방 사장은 불교계에 대한 일련의 왜곡 보도에 대해 정중히 사과했다"고 밝혔다.

조계종의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은 '신정아-변양균 사건'을 계기로 불거졌다. 조계종 관계자는 "'월정사 국고 지원 의혹 보도' 등 불교계를 향한 조선일보의 추측성 왜곡 보도가 줄을 잇자 불교계의 불만이 폭발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결국 지난달 5일 전국 교구본사 주지회의에서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을 결의했다. 이후 전국 2300여 개 사찰에 구독 거부 현수막을 걸고, 약 3만 명이 서명운동에 동참했다. 또 구독 거부 내용을 담은 차량용 스티커 80만 장, 홍보전단지 40만 장도 배포됐다.

총무원 관계자는 "조선일보 측의 사과에 대한 대처 방향에 대해 교구본사 주지회의의 의견을 모은 뒤 총무원 부.실장단 종무회의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조계종 측은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에 대한 최종 입장을 조만간 발표할 전망이다.

백성호 기자

※ 사진 혹은 이름을 클릭하시면 상세 프로필을 보실 수 있습니다.[상세정보 유료]
※ 인물의 등장순서는 조인스닷컴 인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순서와 동일합니다.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前]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1949년

[現]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원장(제32대)

1932년

[現] 조선일보 이사(주필)

1948년

[現] 조선일보 대표이사사장

1948년

[現] 조선일보 편집국 국장

1955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