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현단계 모순과 과제 표현한 16개 키워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 공산당의 17차 전국대표대회(17大)와 17기 중앙위원회 1차 전체회의(17기 1중전회)가 끝난 직후 중국 언론들은 '16개 키워드'를 소개했다. 16기 까지 중국 현대사를 통해 누적돼 온 모순과 과제를 종합한 단어들이다. 17대를 통해 새롭게 탄생한 새 지도부에게 던져진 과제이기도 하다.

①중국 특색 사회주의=1992년에 열린 13차 당대회에서 처음 제기한 용어다. 당시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 건설'. 이번에는 '건설'을 '발전'으로 바꿨다. 더욱 심화시켜 나가자는 취지.

②개혁·개방=덩샤오핑(鄧小平)이 78년 11기 3중 전회에서 제창. 이번에는 '중화민족 부흥의 필수 과정'으로 개혁·개방을 규정했다.

③과학발전관=이번에 당장(黨章:당 헌법)에 삽입된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새 지도이념이다. '인민을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누구나 동의할 수 있게 조화로운' 발전이 목표다.

④참정권 확대=17대에 새롭게 제시된 정치체제개혁의 주요 목표다. 당내 민주화, 정치적 민주화를 통해 인민의 참정권을 늘려 공산당 권력독점에 대한 사회적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것이다.

⑤조화 사회= 후 주석 집권 초기인 2003년 등장했다. 빈부 격차를 줄여 인민 모두가 고르게 잘 사는 사회 만들기가 목표다.

⑥평화 통일= 대만을 흡수 통일하는 게 목표다.

⑦민생 개선= 17대는 '민생 대회'로 규정됐다. 교육·의료·주택 문제가 최대 현안이다.

⑧공민 의식= 올림픽을 앞둔 시민의식 개혁 운동.

⑨4배 늘리기= 2020년까지 1인당 GDP를 2000년의 4배 늘린다는 구호다.

⑩소득분배= 중국 공산당이 처음으로 '분배'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소득의 공평한 분배'를 주요 정책 목표로 제시했다.

⑪재산(자산) 소득= 중국인의 재산은 월급·이전소득(양로지원금 등)·경영수입·재산소득 등 네 가지다. 현재는 월급이 70%, 재산 소득이 2%다. 그러나 최근 2~3년에 주식·부동산등 자산으로 통한 재산 소득이 급증해 빈부 격차의 원인으로 등장했다.

⑫전면적인 샤오캉(小康)= 생활에 걱정 없이 편안하게 살 수 있는 경제수준이 샤오캉이다. 17대는 샤오캉을 농촌까지 확산시키는 게 목표다.

⑬생태 문명= 17대에서 환경 보호를 강조하기 위한 용어로 등장했다.

⑭반부패= 2005년 1만1071명의 관리가 부패로 입건, 이 가운데 7279명이 구속됐다. 정권 자체를 위협할 수 있는 부패의 척결이 시급한 과제다.

⑮공존공영= 세계 각국과의 평화공존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외교 정책 원칙이다.
(16)경제 혁신= 생산과 분배 구조를 선진국 형으로 혁신하자는 운동이다.

베이징= 진세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