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주 총무원장 '전두환 지지' 거부하자 사찰 등 5700곳 수색·연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10.27 법난'은 1979년 12.12 사태로 정권을 잡은 신군부의 중심 세력인 합동수사본부(합수부)가 '불교계 정화수사계획(45계획)'에 따라 80년 10월 27일 대한불교조계종(조계종)의 스님과 불교 관련 인사 등 153명을 강제 연행하고 전국의 사찰과 암자 5731 개소를 일제히 수색했던 사건이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과거사위)는 25일 '10.27 법난 사건 조사 결과' 발표에서 "법난은 신군부 세력에 비우호적인 월주 총무원장에 대해 신군부와 문화공보부가 부정적으로 평가한 데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신군부는 80년 4월 26일 조계종 총무원장에 월주 스님이 선출됐으나 문공부가 총무원장의 등록을 지연시켰다. 또 월주 총무원장은 같은 해 8월 신군부가 요청한 전두환 장군에 대한 지지를 거부했다.

과거사위는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법난 사건을 보고받았던 것으로 추정했다.

전 대통령은 법난 직후인 80년 12월 11일 박기종 당시 정화중흥회의 의장 등을 청와대로 초청해 "참선하는 절에 깡패들이 서식하고, 내가 잘 아는 서○○ 박사가 종단분규로 욕을 보았다" "종단 정화가 빨리 종식돼 국민정신 계도에 앞장서 달라"고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난은 국보위 상임위원회가 80년 6월 초 사회정화계획을 위해 작성한 '업무보고'에 의해 계획적으로 이뤄졌다고 과거사위가 밝혔다.

과거사위 조사에 따르면 법난으로 수사기관에 연행된 스님들은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각목 집어넣고 무릎 누르기, 새끼 손가락에 볼펜을 끼워놓은 상태에서 조이기, 잠 안 재우기, 코와 입에 고춧가루와 빙초산 섞은 물 붓기, 물고문, 전기고문 등 온갖 가혹행위를 받았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