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보급률 "헷갈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대전의 주택 보급이 한계에 달했나,아니면 아직 상당히 부족한가.

대전시가 최근 홈페이지(www.metro.daejeon.kr)를 통해 수치가 다른 두가지 주택보급률 자료를 발표,시민들을 헷갈리게 만들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시 전체 주택보급률은 98.6%. 특히 중구(1백1.5%)와 대덕구(1백4.7%)는 수치상으로는 이미 포화상태를 넘어선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수치는 현재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주택 보급률 산정 방식(빈집을 포함한 전체 주택수÷보통 가구수)으로 계산한 결과다. 보통가구는 주민등록에 올라 있는 가구에서 특별가구(1인 가구.외국인 가구.오피스텔.비혈연 가구 등)를 뺀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결혼한 부부가 부모님집에서 분가, 오피스텔에서 살림을 하더라도 독립가구로 인정되지 않는다. 건축법 상 단독주택으로 분류되는 다가구 주택(원룸)은 한채에 19가구가 살더라도 1가구로 계산된다. 이는 오피스텔.원룸 등 새로운 주거형태가 나타나지 않은 1960년대 이후에 정부가 '1가구 1주택'을 목표로 추진해 온 주택 공급 정책에서 사용해 온 개념이다.

하지만 주민등록 가구를 기준으로 하면 시 전체 주택 보급률은 77.1%로 크게 낮아진다. 특별가구도 주민등록 상으로는 독립가구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충남도의 경우도 지난해말 현재 보통가구 기준 보급률은 1백6%이나 주민등록 가구 기준으로는 93%다.

대전시 관계자는 "핵가족화 추세 등을 감안할 때 보통가구 기준으로만 주택 보급률을 산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대전=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