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사모펀드 편법 운용 투신사 10여곳 조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금융감독원이 수탁고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사모펀드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섰다.

금감원 임승철 증권검사2국장은 5일 "현재까지 5개 투신사에 대한 조사를 마쳤고, 다음달까지 5개사를 더 조사할 계획"이라며 "사모펀드를 이용한 우회 대출이나 특정 자산(주식.채권)에 지나치게 편중해 투자하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일부 기업이 사모펀드를 이용해 계열회사에 자금을 우회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었다. 즉 A기업이 B투신사에 사모펀드를 설정하고, B투신사는 A기업이 지정한 C기업의 기업어음(CP) 등을 매입해주는 식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사모펀드 설정액은 전년도보다 32.8%(13조7천억원) 늘어난 55조4천억원.

사모펀드가 이처럼 각광받는 것은 공모펀드에 비해 각종 규제가 적고 위탁자가 펀드 운영 방식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사모펀드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공모펀드와는 달리 소수(30명 이하)의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아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주로 자금사정이 좋은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사모펀드에 자금을 예치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사모펀드의 일종인 '사모주식투자펀드'(private equity fund) 활성화 방안을 이르면 하반기에 내놓을 방침이다.

사모주식투자펀드는 특정 기업의 경영권 인수를 위해 조성된 사모펀드를 말한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사모주식투자펀드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손쉽게 조성할 수 있도록 규제를 푸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희성.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