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생활수급 자녀 대학생 1만8400명 내년부터 429만원씩 장학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내년(2008학년도)부터 돈 없는 학생도 대학에 다닐 수 있게 된다. 정부가 수능성적이 평균 6등급 이상이 되는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의 자녀 1만8400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지원액은 1인당 연간 429만원(내년 국공립대 1년치 평균 등록금 기준)으로 총 800억원 규모다. 정부는 그동안 기초생활수급자 가정 자녀들에게 무이자나 연간 2%의 싼 이자로 학자금을 빌려줘 왔다. 이번처럼 대규모로 장학금을 대주는 것은 처음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1일 이런 내용의 저소득층 자녀 교육 지원사업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국의 60만 고3 수험생 중 기초생활수급자 가정 자녀 3만2324명(2006년 기준)의 절반을 넘는(57%) 1만8400명에게 장학금 혜택을 주게 된다. 1만8400명은 내년에 전문대와 4년제 대학에 진학하는 기초생활수급자 가정 자녀 2만3000여 명 가운데 수능 6등급 이상인 학생(82%)이다.

교육부는 이들에게 1학년 때는 429만원을 지원하고, 학년이 올라갈 때마다 평균성적이 B학점(100점 만점에 80점)이상이면 같은 액수를 대줄 계획이다. 교육부 김경회 정책홍보관리실장은 "국공립대보다 등록금이 비싼 사립대에 입학하더라도 성적 관리를 잘 하면 부담 없이 공부할 수 있다"며 "2011년까지 연간 20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기초생활수급자의 학업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내년에 형편이 어려운 지방대 우수학생 2200여 명에게도 125억원의 장학금을 줄 방침이다. 학자금 무이자와 저리융자 지원 대상도 현재 7만 명에서 34만 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기초생활수급자 장학금 지원을 포함한 내년도 전체 예산을 35조4866억원으로 편성했다. 대학 지원 사업이 1조원 증가하는 등 올해보다 4조2025억원(13.4%) 불어났다. 국가공인 영어시험 개발과 비영리 영어능력 평가재단 설립 예산 28억원과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 10개 육성 사업 1000억원, 대학 우수 인력 양성 사업 1300억원이 새로 들어갔다.

양영유 기자

◆기초생활수급자=월 소득이 최저생계비(4인 기준 120만원)에 미달하는 가정으로 정부가 생활비와 주거비.교육비 등을 지원해 준다. 자녀가 부양할 능력이 있으면 소득이 낮아도 대상에서 제외된다. 6월 말 현재 대상자는 145만 명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