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산 신도시 토지수용에 땅주인들 양도세 희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고속철도 천안아산역 배후 신도시 조성을 위해 수용되는 천안.아산 지역 토지 소유자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보유 토지를 사업시행자에게 넘겨 보상받을 때 내는 양도소득세 부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천안은 지난해 5월 말 토지투기지역으로 지정돼 양도세를 실거래가로 납부해야 하는 반면, 아산은 이보다 낮은 기준시가로 낼 수 있다.

천안지역 토지소유자들은 "같은 공공사업지인데도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반발, 보상 과정에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대한주택공사는 이달 초 개발계획승인이 난 천안아산역 배후 신도시 1단계(아산 배방지구) 1백7만평에 대해 이르면 4~5월 보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산 배방지구는 아산시 배방.탕정면 일대 85만평, 천안 불당동 일대 22만평이다. 이들 지역 토지는 2월 고시되는 공시지가에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해 감정 평가를 한 뒤 보상하게 된다.

공시지가는 논을 기준으로 천안 불당동이 아산 배방.탕정면보다 20~30%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불당동 지역 토지 소유자들은 양도세를 실거래가로 낼 경우 보상금액의 상당 부분이 세금으로 환수될 수밖에 없다며 울상이다. 천안 불당동 주민 丁모씨는 "실거래가로 양도세를 낼 경우 기준시가보다 세금 부담이 3~5배 많은데 누가 보상에 순순히 응하겠느냐"고 말했다.

천안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건설교통부는 양도세 부과 기준 등을 담은 소득세법 개정을 재정경제부에 요청했다. 공공사업지 수용지역에선 투기지역이라도 양도세를 기준시가로 낼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재경부는 "예외를 둘 수 없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한편 판교신도시의 경우 토지투기지역으로 지정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면서 지난해 말 보상을 시작한 후 한달여 만에 전체 보상금의 65%인 1조6천억원가량이 풀려나갔다.

박원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