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Story] ‘Made in China = 싸구려’공식 깨지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생필품 가격 크게 올라=중산층이 촉발시킨 내수 소비 붐의 영향으로 서민들은 생필품 가격이 치솟아 허리가 휠 정도다. 13억 명이 하루에 평균 한 개 이상 먹는다는 계란의 경우 지난해보다 22.9% 올랐다. 돼지고기 가격은 86.5% 뛰었다. 고량주 우량예(五良液)는 공장 출고 가격이 지난해 말 350위안이었으나 두 차례 가격 인상을 통해 380위안으로 올랐다. 소비자 가격은 420위안을 넘는다.

 중국 언론은 “지난달 가공식품의 공장 출고 가격이 평균 8.6% 뛰어 소비자물가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국가통계국이 11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뛰었다. 10년 만에 최고치다.

 물가 인상은 임금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업들은 직원들의 임금 인상 요구를 한없이 외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 외국 투자기업 관계자는 “우수한 인력을 잡겠다며 경쟁 업체가 눈치 빠르게 임금을 올려 우리도 하는 수 없이 각종 수당을 올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은 부분적 현상이라지만 임금 인상 목소리가 커지면서 중국산 공산품 수출 가격 인상 가능성도 거론된다. 중국 정부가 환경오염 억제 강화, 기업소득세(법인세) 인상 같은 기업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더욱 그렇다. 계속 절상되고 있는 위안화도 중국산 제품 가격을 올리고 있다.

 이런 사정은 ‘세계의 공장’에 몰려든 미국·일본·유럽연합(EU) 기업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이 심화하면 그동안 값싼 중국산 제품 덕분에 물가 안정을 유지해온 한국·미국 같은 주요 중국산 공산품 수입국들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산 바겐세일’이 끝나가고 있다는 얘기다.

 ◆중국 정부 대책은=인민은행의 저우샤오촨(周小川) 행장은 10일 “중앙은행의 정책 목표가 통화 팽창 억제”라고 선언했다. 중국의 물가정책 총괄 책임자가 통화 팽창의 위험성을 직접 언급함으로써 전문가들 사이에 계속된 ‘통화 팽창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앞서 발표된 인민은행의 ‘2분기 통화정책보고’에서도 “물가 상승은 우연적·일시적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며 인플레 위험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고성장 저물가’ 신화가 머잖아 끝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말이다.

 중국 정부의 통화 억제 노력은 이미 시작돼 인민은행은 최근까지 네 번이나 금리를 올렸다. 은행의 돈줄을 조이기 위해 지급준비율도 올 들어서만 일곱 번 올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당국의 물가 대응이 미흡하다며 추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물가상승률에 비해 1년 만기 예금 금리(현 3.60%)가 너무 낮기 때문이다.

골드먼삭스는 “중국의 자산 가격 상승과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연내에 두 번 정도 금리를 더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상하이 신은만국(申銀萬國)증권의 리후이융(李慧勇) 수석연구위원은 “통화 팽창이 지속돼 앞으로 적어도 2년간 소비자물가지수는 4%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