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소각로 설치로 울산시.업계간 경쟁-울산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쓰레기 소각로 설치를 놓고 울산시와 환경운동연합.소각로 제작회사간에 자존심이 걸린 한판 승부가 벌어지고 있다.
울산시가 공동주택 단지에 설치한 소형 쓰레기소각로의 시범운영결과에 따라 앞으로 소각로 추가설치와 다른 시.군 설치여부는 물론 국산 소각로의 성능도 판가름나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다운시영복지.대암아파트.현대중전기 아파트등에 한국산업로협동조합(이사장 李갑순)의 추천을 받아 시간당 80㎏을 소각처리할 수 있는 서울의 대일열기공업사(대표 崔두환)소각로를 1대씩 설치,이달말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 다.
시는 6개월간의 소각로 시범운영이 주민들의 쓰레기 분리수거를정착시키고 생활쓰레기 발생량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거둘 경우 다른 아파트단지에도 추가로 설치,쓰레기 발생량을 대폭 줄여 나간다는 것이다.효율적으로 소각로를 운영할 경우 냄새는 물론 2차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시와 소각로 설치회사의 판단이다.
그러나 운영결과 소각로의 성능에 문제가 있을때는 대일제품을 바로 철거하고 다른 제품으로 대체할 방침이다.이같은 시와 소각로 회사간의 소각로 성능을 둘러싼 문제와는 달리 환경단체들은 아예 소각로 설치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쓰레기를 소각할 경우 대기오염등 2차오염이불가피하고 재활용운동을 오히려 위축시킬 소지가 있다며 매립장 부족등을 이유로 쓰레기 처리를 소각방법으로 전환하는 것은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며 선진국에서도 소각 방법을 쓰 지 않고 있다는게 환경운동연합측의 주장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러한 주장을 근거로 16일 그린피스와 공동으로 성명서까지 발표했으며 소각로 설치대상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반대여론을 모으고 있다.특히 환경운동연합은 오는 22일 민간단체와 공동으로 시의 쓰레기 정책에 대한 시민대토 론회를 갖고 소각로 설치타당성 여부를 검증할 계획이다.
이 토론회에는 시도 참여할 예정이어서 소각로 설치를 놓고 한판 뜨거운 논쟁이 불가피하게 됐다.소각로 제작회사들도 시범운영과 토론회 결과에 따라 추가설치 여부가 결정돼 시와 환경단체의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러한 소각로 논쟁은 앞으로 시가 1일 8백t 처리규모의 대형 소각로 설치를 계획하고 있는데다 다른 시.군들도 잇따라 설치할 시점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蔚山=黃善潤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