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관광 이웃나들이 가듯 손쉽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韓國의 일반인들에게도 中國이 성큼 다가섰다.
金泳三대통령의 취임후 첫 中國나들이를 계기로 4월1일부터 중국에 대한 여행자유화 조치가 취해짐에 따라 중국땅을 찾는 한국인들의 발길이 한층 잦아질 것 같다.
중국외교부도 30일 발표한 논평을 통해『한국정부가 소위 특정국가 여행허가라는 이름으로 한국민들의 중국방문을 제한한 조치를취소키로 한 것은 현명한 처사로서 이번 조치를 계기로 인적교류가 더욱 확대돼 양국 우호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반기고 있다.
중국당국은 이에 따라 그동안 단순한 여행을 목적으로 한 사증(비자)발급에 제한을 가해왔던 기존 방침을 상당부분 완화키로 했다. 중국여행사.청년여행사.국제여행사등 3대 여행사를 비롯한중국내 여행사들도 여행사내 설치된 韓國處 기구를 확대하고 한국인 여행가이드를 전담할 朝鮮族 물색에 나서는등 한국特需에 잔뜩기대를 부풀리고 있다.
이들은 또 백두산에 향수를 갖고 있는 한국인 여행객들을 불러들이기 위해 東北3省의 여행사들과 계약을 맺고 백두산 근처의 숙박시설을 확보하느라 부산을 떠는 모습이다.
그동안 중국땅을 밟아본 한국인수는 91,92년 4만3천명에서수교 이듬해인 93년 11만2천명으로 급증했다.
이번 여행자유화조치로 인해 당장 올해부터 중국 방문객수가 더욱 늘어날 것이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 같다.
그러나 여행자유화조치로 인해 대학을 진학하지 못했거나 자신의소속 학교에 만족하지 못한 재수생과 전문대학생들의「도피 유학」이 사실상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그렇지 않아도 사회문제로 등장한 중국도피유학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 사회주의를 표방,매춘등에 엄격한 제한을 두고있는 중국법규를 잘 알지못한 일반 여행객들이 돈벌이에 혈안이 된 현지인들의 꾐에 빠져 자칫 국가적 망신을 당할 우려도 없지 않다.
사실 중국에 대한 특정국가여행제한 조치는 韓中 양국간에 밀고당기는 외교현안으로 줄곧 대두됐던 문제다.
중국측은 92년 8월을 기해 일단 양국이 정식 국교를 수립한마당에 전세계적으로 쿠바등 4개국에 적용하고 있는 특정국가 여행제한을 중국에 적용한 것은 부당한 처사라고 주장,우리 정부측에 이의 해제를 줄기차게 요구했었다.
우리정부측이 이를 해제하지 못한데는 정치.사상체계가 다른 중국에 한꺼번에 몰려들 경우 이에따른 충격을 감당키 어렵고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중국을 통한 越北과 도피유학을 어떻게 막느냐에 대한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교 1년이 지나면서 중국에 대해 일반인들의 인식이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다는게 우리당국의 판단인 것 같다.
***中요구 결국수용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국가정상 방문이 이뤄지고 양국 교역량이 1백억달러를 넘어서는 마당에 더 이상 이를 움켜쥐고 있을 수는 없어 어쩔 수 없이 여행자유화조치를 취하기는 했지만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뚜렷한「처방책」이 없어 고심하고 있는 눈치다.
[北京=文日鉉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