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 불안’ 차단 … 오늘 청와대서 대책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노무현 대통령은 23일 권오규 경제부총리, 김용덕 금융감독위원장,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와 청와대에서 회의를 한다. 회의에선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촉발된 세계 금융시장 불안 상황을 점검하고 국내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의견을 조율할 예정이다.

 이들 경제 관료들은 22일에도 금융시장의 불안 차단에 나섰다. 한·일 재무장관 회담을 통해 일본과 정책 공조를 벌이기로 했는가 하면 시중은행장들과 만나 국내 금융시장 상황을 파악했다.

 권 부총리와 오미 고지(尾身幸次) 일본 재무상은 이날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양국 재무장관 회담에서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이 안정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허경욱 국제금융국장은 “양국은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엔캐리 트레이드 관련 위험 요인들이 확대되지 않도록 이를 사전에 파악하고 탄력적인 조치를 취하는 데 협조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도 시중은행장들과 한 취임 후 첫 오찬 간담회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이라며 “그러나 시장 불안이 심화할 경우의 대비책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 역시 이날 월례 경제동향 간담회에서 “신용 위험에 대한 재평가가 일단락될 때까지는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러나 투자자의 위험 회피 성향이 점차 진정되면서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파장의 진원지인 미국에서도 금융 당국과 정치권이 머리를 맞댔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과 헨리 폴슨 재무장관, 크리스토퍼 도드 상원 금융위원장은 21일(현지시간) 긴급 회동을 하고 시장 불안에 적극 대처키로 했다. 도드 위원장은 “FRB가 17일 재할인율을 인하했지만 시장이 효과를 느끼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앞으로 시장 불안 해소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키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미국 내 시장 불안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했다. 연방기금 금리 인하 언급이 없었던 데다, 향후 정책을 놓고 갈등을 빚었다는 소식이 전해진 때문이다.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옮겨가는 조짐도 일부 감지되고 있다. 부동산 조사 업체인 리얼티트랙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주택 압류 건수는 17만959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 증가했다. 또 퍼스트 매그너스 파이낸셜의 파산 보호 신청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파산 보호를 신청한 모기지 업체는 14개로 늘었다. 고용시장도 주춤거리고 있다. 컨설팅회사 챌린저·그레이앤크리스마스에 따르면 미국의 금융서비스 업체들은 올 들어 8만7962명을 감원했다. 지난해에 비해 75%나 늘어난 수치다.

뉴욕=남정호 특파원

서울=안혜리·손해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