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 대책 언제 나오나”/농촌기반이 흔들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논밭 매물사태… 소값 폭락/농민단체 줄줄이 문닫아
농촌이 흔들리고 있다. 극한 투쟁으로까지 맞섰던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결과를 숙명처럼 받아들이기 시작한 농민들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 속에 농촌사회와 농업기반의 붕괴현상 조짐이 각 분야에 걸쳐 드러나고 있다.
UR협상 타결이후 소를 내다파는 농민들이 늘면서 소값이 폭락하고,일부 농촌에서는 농토를 팔아치우거나 논밭을 갈아엎고 다른 작목을 심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 60년대이후 농촌에 활기를 불어넣었던 4H와 새마을운동협의회 등 농민지원단체들도 UR 협상타결 영향으로 일부는 존폐위기까지 맞고 있으며 농어민후계자들까지 농어촌을 떠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국제화 길목에서 겪어야 할 우리 경제의 산업구조 조정과정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정부차원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대책이 없는 상태에서 빚어지고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충남지방에서는 소값이 최근 마리당(4백㎏ 수소기준) 1백74만원으로 올들어 최고시세를 보였던 10월(2백28만원)에 비해 무려 54만원(24%)이나 폭락했다.
송아지값 역시 1백25만원으로 최고시세를 보였던 5월(1백40만원)에 비해 11% 하락,연중 최저치를 나타냈다.
제주도 감귤밭도 감귤시장 개방소식에 영향을 받아 2년전 평당 12만∼15만원에서 요즘은 절반수준인 6만∼7만원으로 떨어졌다.
7천평의 논농사를 짓고 있는 반재춘씨(44·전남 장성군)는 최근 감 묘목 6백그루를 사 논 2천5백평을 갈아고 심는 등 논밭을 과수원으로 바꾸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농민들은 유망작목에 대한 종합적 분석없이 너도나도 작목 전환을 서둘러 과잉재배·생산으로 인한 제2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4H·새마을지도자·부녀회·영농후계자협의회 등 농어민단체와 조직들도 유명무실해지고 있는 가운데 존폐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4H 회장과 새마을 지도자 등은 얼마전까지만해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곤 했으나 특히 UR 협상타결 이후에는 서로 맡기를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농촌지역에서는 활동이 사실상 중지된 상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