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레저전망대>여행사,중국단체 관광객 담보금제 강력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대전엑스포를 계기로 중국 관광객 대량유치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중국 단체관광객 여행사 담보금제가 중국측의 여권발급제한과 교포들의 불법체류문제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딜레마에 빠져있다.
중국 단체관광객 여행사 담보금제는 정부와 관광업계가 중국 12억인구중 5%선인 6천만명을 해외여행 가능층으로 보고 관광객유치차원에서 28개 여행사를 지정,중국인 불법체류 관련 경비보증금 3천만원씩을 내고 친지방문.상용 이외에 입 국사증을 내주어왔던 제도.그러나 중국측이 외화유출을 미연에 방지키 위한 고급관리들의 해외여행 제한 조치로 여권발급자체가 통제되고 있고 한국에 오는 중국교포들 대부분은 비자기간을 어기고 잠적,불법으로 취업전선에 나서 말썽을 빚고있어「 뜨거운 감자」로 확인되자여행사들중에는 지정여행사를 자진 반납하거나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지난달9일 중국인 1백22명의 엑스포관광을 주선한아주관광여행사는 당시 안내원을 포함한 3명만이 교포라는 중국 최대여행사인 중국국제여 행사측의 전문을 받고 입국을 주선했으나대부분 교포로 밝혀진 1백15명이 인천항 입국장과 호텔에서 사라져버리는 사건이 발생,이후 계약했던 13개단체 2백93명의 유치를 포기하고 지정여행사도 포기해버렸다.
또 지난달 30일 국내관광을 목적으로 내한한 중국인 30명중안내원 1명을 제외한 29명이 몽땅 사라진 사건이 발생한 세운여행사도 지정포기를 고려하고 있고 중국인 불법체류 급증을 우려한 전국여행사는 지정자체를 자진 반납해버렸다.이 밖에 세일여행사.다이너스티.삼희관광등 상당수 여행사들이 중국여행객 유치를 잠정적으로 유보하고 있다.
법무부 집계에 따르면 10월 현재 재한외국인 불법체류자가 5만8천여명이나 되고 잠적한 중국교포만도 2만5천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 실정.정부는 중국인들의 불법체류가 부쩍 늘자입국심사를 까다롭게 하고 비자발급도 조심스럽게 제한하고 있으나불법체류의 원천봉쇄는 사실상 어려운 상태로 알려져 있다.
관광업계와 전문가들은 중국 단체관광객 유치가 업계입장을 감싸주려는 정부조치가 아니라는 점을 곱씹어볼때 교통부가 애당초 인적.물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여행사들에 책임을 전가하고 발뺌하기위한 조치 아니었느냐며 심하게 반발하고 있다 .
〈鉉〉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