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쟁도발 징후없다”/북핵해결 한미 정상회담때 논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 대통령,안보장관회의서 강조
정부는 10일 김영삼대통령 주재로 안보장관회의를 열어 북한핵과 관련한 최근의 한반도 정세를 종합분석한 결과 북한의 동향이 심상치 않지만 대남 침공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관계기사 3면>
김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이 군사동원 태세를 강화하고 북한 내부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구체적인 도발 징후는 없다는 보고를 받고 『북한의 핵개발은 반드시 막아야 하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만반의 대응책을 철저히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김 대통령은 『클린턴 미 대통령과의 23일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한미간의 긴밀한 공조협력체제를 더욱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이 자리에서 북한 핵문제에 대한 「최종에 가까운」 협의를 하게될 것』이라고 말해 한미간 북한핵에 대한 최종의 결단시기가 가까워 왔음을 시사했다.
김 대통령은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한반도의 평화와 국민의 생존·번영을 보장할 자신과 능력이 있다』고 말하고 『그렇다고 북한을 흡수 통일할 의도가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천명했다.
김 대통령은 『이제 북한의 핵문제 해결 노력이 중요한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말하고 『앞으로 안보장관회의를 수시로 소집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안보장관회의 직후 열린 이북5도 청사 준공식에서도 『북한에 많은 군사적 변화가 있고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북한의 구체적인 전쟁 도발 징후는 아직까지 없다』고 말하고 『미군과 합동해 우리를 지킬 힘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북한의 핵문제는 7천만 동포의 생존이 걸린 것』이라고 지적,북핵 개발을 단호히 저지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클린턴 미 대통령과 이미 지난 7월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안보에 대해 합의를 본바 있으나 곧 있을 정상회담에서 이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핵무기 개발저지를 위한 양국 공동노력에 관해 깊이있는 얘기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장쩌민(강택민) 중국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도 중국이 북한에 핵개발을 하지 못하도록 영향력을 최대한 행사해 줄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하고 『북한 핵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남북간 경제교류는 생각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안보장관회의에는 황인성 국무총리,한완상 통일원·한승주 외무·이해구 내무·권영해 국방장관 및 김덕 안기부장,정종욱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이 참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