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번엔 '탑승객 사전 심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올해 초 '비자를 갖고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에게 입국시 의무적으로 지문채취와 얼굴 촬영을 하도록 한 미국이 이번엔 미국 공항을 이용하는 모든 항공기 승객을 대상으로 '빅 브러더'를 연상케 하는 엄중한 감시방안을 내놨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 정부가 항공기 승객의 개인정보를 심사해 테러 위험 등급을 부여한 뒤 출입국 심사를 차별화하는 '컴퓨터 이용 승객 사전심사 프로그램 2(CAPPS 2)'를 이르면 다음달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12일 보도했다. 이를 위해 미국 정부는 이르면 다음달부터 미국에 취항하는 항공사와 미국 항공권을 판매하는 업체에 승객의 이름.집주소.전화번호.생년월일.여행목적지 등 모든 개인정보를 제공하도록 명령을 내릴 계획이다.

미 운송보안국(TSA)에 따르면 'CAPPS 2'는 우선 제공된 개인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관청기록 및 상품배달주소 등 상업기록과 비교해 본인 여부를 확인한다. 본인 확인절차가 끝난 다음에는 범죄기록이나 테러의심자 명단, 특수지역 항공여행기록 등과 비교해 고유번호와 함께 테러위험 등급을 부여한다.

가장 위험한 '적색'등급을 받은 승객은 '사전 통보'를 통해 출발지에서 탑승이 거부되며 그 다음인 '황색' 등급자는 검색대에서 철저한 수색과 함께 엄중한 감시를 받도록 조치된다. '녹색'등급을 받은 일반인은 비교적 수월하게 검색대를 통과할 수 있다. TSA 관계자는 "승객의 5% 정도가 '적색'이나 '황색' 등급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대해 미국시민자유연합 등 상당수 인권옹호단체와 소비자단체는 "이 조치들은 외국인 등 일부 승객을 차별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채인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