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훈장 명칭 “왜곡”/62년 제정때 「웃분」 환심사려 원안바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담당자가 자주장→대통령장 독립장→국민장으로/박은식선생 대통령장 「후배」 대통령한테 받을 꼴
건국공로훈장의 등급명칭이 윗사람의 환심을 사려는 일부 공직자들의 잘못때문에 원안과 달리 왜곡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장·대통령장·독립장·애국장·애족장으로 돼있는 건국훈장 5개등급의 명칭가운데 대통령장은 당초 자주장이었으나 불순한 동기에서 대통령장으로 둔갑됐다는 것. 이와관련,광복회(회장 김승곤) 등 일부독립 유공자·유가족 단체들은 원상회복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정부에 제출하는 등 「행동」에 나설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정부가 지난 62년 3·1절을 앞두고 건국훈장의 등급과 명칭을 제정할 당시 독립운동 유관단체였던 순국선열유족회·기미독립선언 33인 유족회가 「대한민국 자주 독립」에서 한단어씩 떼낸 대한민국장·자주장·독립장으로 해줄것을 제안,그대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당시 최고실권자인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게 결재안을 올리는 담당자들이 박 의장의 환심을 사기 위해 자주장을 대통령장으로 둔갑시켰으며 앞뒤 구색을 맞추려고 독립장도 국민장으로 바꾸었다는게 이들의 주장이다.
그후 65년 2월 여러 독립운동 유관단체들을 포괄하는 광복회가 결성되면서 원래 명칭으로 바로잡아주도록 정부에 건의하는 등 활발한 운동을 벌여 지난 90년 1월 독립유공자 포상법 개정때 국민장이 독립장으로 환원되고 애국장과 애족장이 신설됐으나 대통령장은 여전히 고쳐지지 않은채 남아 있다.
백계현 광복회 사무총장은 『이 때문에 상해임시정부 2대 대통령(1925년 3월∼같은해 11월)을 지낸 박은식선생에게 대통령장이 추서된 것과 같은 「선배 대통령이 후배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장을 받는」 기현상이 빚어졌다』며 조속한 시정을 촉구했다.
이에대해 주무부처인 총무처의 김종민 의정국장은 『공식의견이 접수되는대로 각계의 중지를 모아 적절히 대처할 것』이라며 개선할 뜻이 있음을 비추고있다.(정태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