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단속|제작·유통사도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국산 소프트웨어 개발사 및 유통업체 35개 사가 국내 처음으로 불법복제 소프트웨어에 대한 강력하고 체계적인 단속을 하기 위해 한국판「BSA」(미국사무용소프트웨어연합)로 비유되는 민간단체를 공식적으로 설립해 주목을 끌고 있다.
한글과컴퓨터·금성소프트웨어 등 국내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는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로터스코리아 등 미국업체들까지 참여한「소프트웨어 재산권 보호위원회(SPC)」가 지난달 29일 창립 식을 갖고 본격적인 불법복제단속을 실시키로 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창립을 준비해 온 SPC는 이날 창립총회와 6일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불법복제에 대한 법적 대응 및 불법복제 방지를 위한 대 국민 홍보 등을 올해 역점사업으로 추진키로 했다.
김익래 위원장(다우 데이타 시스템 사장)은『SPC 설립은 불법복제 단속이 이제는 국민계몽차원에서 국산 소프트웨어발전을 위한 이권차원으로의 방향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기존에 업체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불법복제 단속과는 양상이 다르다는 것. 이를 위해 전담 변호사를 두어 법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법률상담·중재도 지원하며, 오는 11월까지 계획된 검찰의 특별단속기간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또『국산 소프트웨어만 단속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일부 외국 소프트웨어만을 대상으로 하는 BSA와는 전혀 공조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