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환규제」에 꽃 농가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보사부와 민자당이 15일 경조사 때 화환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가정의례법을 개정키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꽃수요가 폭락, 꽃 재배농가와 도소매업자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꽃 업계 관계자들은 86년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꽃 육성방침을 적극적으로 펴기 시작한 정부가 우루과이라운드 대비책으로 90년부터 제주·마산·서산 등에 대규모 꽃 단지를 조성했음을 들어 정부의 화환규제조치가 정권교체기나 변혁기에 주기적으로 등장하는 근시안적인 정책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한국화훼협회(회장 김용성)는 정부가 이같은 정책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국무총리·관계장관 등에 항의서한 발송 ▲헌법재판소에 위한 심사제청 ▲화훼인 1만인참가 가두시위 등의 대응책을 단계적으로 실시키로 했다.
한국화훼협회와 농림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92년말 현재 전국의 꽃 재배농가는 1만3천 가구, 꽃가게는 5만여소에 이르고있으며 총생산액은 3천9백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15일 정부의 규제정책발표 이후 양재동 화훼공판장 경락가격기준으로 한단에 4천20원하던 국화는 2천3백60원으로, 1천1백20원짜리 장미는 3백원으로 값이 폭락, 평균 50%이상의 가격하락세를 보였다. 판매량도 예년의 경우 비수기인 6월 하순에는 업체당 하루평균 3∼4개의 화환주문이 있었으나 정부발표 이후 1개 정도로 뚝 떨어졌다.
이에 따라 꽃 공판장 경매에서 팔리지 않는 불락률이 평소보다 2배 이상 늘어난 30%에 달하고 있다.
전두환·노태우씨 등 역대 대통령이 국립묘지 등에 헌화할 때 사용했던 소위 「대통령 꽃」을 도맡아 제작했던 우춘방화원(서울 역삼동)의 주인 유기홍씨(74)는 『화환의 규모를 줄이는 것은 찬성하지만 생화판매가운데 80∼90%의 비중을 차지하는 화환을 금지할 경우 소매상들은 생존권을 의협 받게 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