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북 고위회담 일정 미정/유엔서 2차 실무접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워싱턴=문창극특파원】 미국과 북한은 21일 유엔에서 북한­미 고위급회담을 위한 2차 실무회담을 가졌다. 이날 회담은 북한측의 요청으로 이루어졌으며 찰스 카트만미국무부한국과장과 김정수유엔주재북한부대사가 참석했다. 워싱턴의 외교소식통은 『이날 회담에서 고위급회담의 일정이 확정되지는 않았다』고 밝히고 『북한측은 내주중 일정을 통보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날 회담에서 북한측은 회담대표를 통보했으나 미국은 북한의 요청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한편 이날까지 고위급회담 날짜가 확정되지 않음에 따라 고위급회담은 내주 중반이후에나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외교소식통은 『북한측이 회담일자를 되도록 늦추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하고 『제2차 유엔결의를 피하기 위해 회담일자를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가 확정되는 내달 12일까지 늦추려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북한 「NPT시한」넘기기 작전(해설)
북한­미고위급회담 일자를 놓고 양측의 줄다리기가 팽팽하다.
지난 17일 북한­미국간에 첫 실무접촉을 가졌을때만해도 북한은 고위급회담에 선뜻 응할 것처럼 보였다. 고위급회담 일정 및 비자발급등 실무적인 절차만 남아 내주초에는 차관급접촉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컸었다.
북한이 21일 뉴욕에서 2차실무접촉을 갖자고 제안해 왔을때만 해도 미국무부는 북한이 고위회담의 날짜를 통보하려는 줄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날 접촉에서 북한측은 예상을 뒤엎고 『고위급회담이 사정상 좀 늦어지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대해 미국은 상당히 불쾌하게 생각하면서도 회담날짜는 북한측이 원하는 대로 한다는 1차회담의 합의때문에 기다릴 수 밖에 없는 입장이 됐다.
쉽게 성사될줄 알았던 고위급회담이 늦어지고 있는 것은 북한이 이 회담을 최대한 이용하자는 전략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한핵과 관련,유엔과 관련국들이 대북한제재를 하려면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가입국 시한이 만료되는 내달 11일까지 이뤄져야 한다. 따라서 내달초까지는 북한의 태도가 판명돼야 경제제재등 제2차결의가 가능한 것이다. 반면 북한은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국과의 고위급회담 준비를 명목으로 지연작전을 써 시한을 넘기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북한으로서는 미국과의 고위회담 뒤에도 해결이 안되면 어차피 제재가 따를 것이라고 판단,고위급회담을 늦추면서 이후의 전략을 구상하며 받아낼 것은 모두 받아낸다는 전략인 것이다.
그러나 회담지연을 미국이 이번 회담의 대표를 차관급보다 한단계 아래인 로버트 갈루치차관보로 낮춘데다 의제도 핵문제로 국한한 데 대한 북한측의 불만표출로 풀이하는 분석도 있다.<워싱턴=문창극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