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기술 자문위 이상희 위원장|과학 기술 인식 높이는게 급선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국민들의 과학 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가장 급선무입니다. 어느 한 분야만을 선정해 추진하는 것은 결국 일시적인 전시 행정으로 그칠 공산이 큽니다.』
임기 2년의 제2대 국가 과학 기술 자문회의 위원장으로 내정된 이상희 전 과기처장관 (55)은 앞으로의 활동에 대해 임기 시작인 6월1일 이후 대통령의 철학과 신임 자문위원들과의 의견을 수렴한뒤 밝히겠다면서도 대전제는 국민의식의 과학화라고 말했다.
『자문위원장은 국가 전체의 과학 기술 정책을 수렴·건의해야하기 때문에 과기처장관 시절의 방향과는 다를 수 있다』는 이 위원장은 『과학 기술계의 목소리는 물론 관련 부처와 단체들의 의견도 폭넓게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위원장은 위원회를 상임으로 바꾸고 정기적으로 한달에 한번 대통령과의 면담을 가질수 있게 한 조치를 들어 김영삼 대통령의 과학 기술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표시하면서 『과학 기술계가 섭섭하지 않은 방향으로 정책이 수립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학 기술은 국가 발전의 기반입니다. 따라서 과학 기술 정책은 항상 미래 지향적이어야 합니다. 도시를 건설할 때 20년 뒤를 내다봐 도로를 만들듯이 과학 기술 정책도 첨단 기술을 도외시하면 안되죠』
현재 과기처가 추진하는 미디엄 테크 정책에 대해서는 『과기처장관은 소탈하고 좋은 분이라 항상 협조하는 관계를 갖는데 어려움이 없을 깃』이라며 언급을 회피하면서도 이 위원장은 자신의 철학을 이렇게 비췄다.
그러나 과학 기술 투자액을 국민총생산 (GNP)의 5% 수준으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과학 기술 혁신법」을 일찍이 주장해 미래지향적인 과학 기술 정책자로 알려진 이 위원장도 이 법이 다음 정기 국회로 넘어가자 『관련 부처들이 아직은 과학 기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탓』이라며 가까운 시일내에 통과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이 위원장은 또 과학 기술 정책이 잘못되고 있다면 그 책임은 과학 기술인들에게도 있다고 말하고 그저 앉아서 정책 수립을 지켜볼 것이 아니라 직접 나서서 정책 관계자와 주위 사람들을 설득시키려는 끝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