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일만은…崔대표 "구속땐 총선방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 박재욱 의원은 8일 하루 종일 연락이 닿지 않았다. 공금횡령 혐의를 받고 있는 그는 당장 9일부터 검찰의 체포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의 서울 사무실에서는 "어제(7일) 오후 지역에 내려갔다"는 답변뿐이었다. 그러나 지역구인 경산.청도에 거주하고 있는 朴의원의 보좌진은 "만나지 못했다. 연락도 없었다"고 했다. 그는 "지역구 활동을 위해 온 것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朴의원은 휴대전화도 가지고 있지 않아 달리 접촉할 방도가 없었다.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의 최돈웅(한나라당)의원도 여전히 연락두절이었다. 그의 보좌진은 "어디 있는지 모른다. 전혀 연락이 없다"고만 전했다. 주위에선 9일부터 '회기 중 불체포특권'이라는 '방탄막'이 걷히는 점을 의식, 잠적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임시국회 마지막날인 8일 검찰의 체포대상인 여야 국회의원 7명의 거취는 크게 엇갈렸다. 잠적해 연락이 안 되는가 하면 여느 때와 다름없이 국회나 지역에 얼굴을 나타낸 의원도 여럿이다.

이날 모습을 나타낸 의원들은 한결같이 "검찰에서 요구하는 대로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초조하고 착잡한 심경을 감추지는 못했다.

이날도 지역에서 의정보고회를 한 한나라당 박주천 의원은 "내일도 아침부터 의정보고회를 열 것"이라며 "검찰의 처분에 맡기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朴의원은 "의정보고회 때마다 관련 내용을 해명하느라 진땀을 뺀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같은 당 박명환 의원도 "내일(9일)부터 어떻게 하겠느냐는 유권자들의 질문이 많이 쏟아져 곤혹스럽다"며 "나는 예정대로 지역활동을 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이훈평.박주선 의원도 "검찰 수사를 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엔 전혀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李의원은 "왜 도망갈 거냐고 자꾸 묻는지 화가 난다"며 역정을 내기도 했다.

열린우리당 정대철 의원 측도 검찰의 요구에 따르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들 체포대상 의원들을 바라보는 각 당의 분위기도 착잡했다. 국민의 따가운 시선 때문에 임시국회를 열 수 없다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는 대선 불법자금과 관련, 구속 가능성이 있는 김영일 전 사무총장의 보호에 특히 관심을 보였다.

崔대표는 "검찰이 金전총장을 구속해 지난 한나라당 대선자금에 대한 출구(사용처) 조사를 실시하면 이는 야당에 대한 총선방해 행위로 단정할 수밖에 없다"며 "이 같은 형평성을 잃은 일에 대해선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강갑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