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운동한 박헌영 첫 부인 광복절에 건국훈장 받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1929년 모스크바 공산대학 유학시절의 박헌영과 주세죽. 당시 박 씨는 29세, 주 씨는 26세였으며 딸 비바안나는 한 살이었다. [중앙포토]

북한 부총리를 지낸 박헌영의 첫 부인 주세죽씨에게 우리 정부가 수여한 훈장이 유족에게 전달된다. 정부는 올해 3월 88주년 3.1절을 맞아 주씨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키로 결정했으나, 주씨 가족과 연락이 닿지않아 미뤄오다 이번에 모스크바에 거주하고 있는 그녀의 딸 박 비비안나(79)에게 수여한다.

 러시아 주재 한국대사관과 보훈처에 따르면 주러 대사관 측은 정부를 대신해 광복절 기념행사장에서 훈장을 전달한다. 주씨는 정부가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유공자에게도 포상하기로 결정한데 따라 훈장을 받게됐다.

 1901년 함경남도 함흥의 농가에서 태어난 주씨는 1920년대 중국 상하이를 무대로 항일과 조선공산당 조직활동을 해왔다. 21년 상하이에서 피아노 공부를 하던 그녀는 박헌영을 만나 결혼했고, 이후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벌였다. 27년 여성단체인 근우회를 결성해 항일 구국과 여성 지위향상 운동도 했다.

 28년 박헌영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로 탈출한 주씨는 이듬해부터 '카레예바(조선여자)’라는 가명으로 모스크바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박헌영이 33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면서 남편과 헤어지게 된 주씨는 38년 일본 밀정이라는 이유로 소련 경찰에 체포돼 카자흐스탄으로 5년 간 유배됐다.

 주씨는 스탈린 정권 당시 귀국을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거부당했다. 또 발레리나가 된 딸 비비안나와 함께 살기를 바랬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46년 모스크바를 방문한 박헌영이 딸을 만나고 돌아갔지만 자신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이 없었다는 소식을 듣고 적잖이 낙담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주씨는 모스크바에서 5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남편 박헌영은 북한에서 내각 부총리 겸 외무장관을 거쳐 50년 조선노동당 부위원장이 됐으나 53년 ‘미국의 스파이’로 몰려 3년 뒤 처형됐다.

 89년 3월 소련 당국으로부터 명예가 회복된 주씨의 유해는 모스크바 시내 한 수도원의 납골당에 안치돼 있다. 딸 박 비비안나는 훈장수여에 대해 “한국정부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