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뷰&리뷰] 쇳대박물관 최홍규씨 개관 후 첫 기획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최홍규(47.최가철물점 대표)씨는 스스로를 "쇠에 미쳤다"고 말하는 철물쟁이다. 열아홉 살에 서울 을지로 철물점에서 쇠를 만나면서부터 쇠붙이 얘기만 나오면 피가 끓는다는 그다.

쇠에 관한 것이라면 뭐든 모아온 그가 지난해 11월 서울 동숭동에 낸 박물관 이름도'쇳대'다. 열쇠의 사투리인 '쇳대'를 주제로 내걸고 3천여점이 넘는 쇠붙이를 모아놓았다.

"며칠 전에 미술사학자인 유홍준 교수가 '이건 여기 있어야 제격이지'라며 불 때는 아궁이 막는데 쓰는 화구 하나를 주셨는데 거죽에 '연료절약'이라고 써 있더라고요. 글씨가 서민체로 구수하니 생활미가 넘쳐요. 아는 이들이 이렇게 모아주는 쇠붙이에다 사들이는 것, 찾아다니는 것 해서 하루 종일 쇠만 만지고 살아도 돌아서면 또 쇠가 그리워요."

진열장을 빼곡 채운 세계 각국의 열쇠들이 주인을 반기는듯 반짝거린다. 화려한 치장으로 집안 살림을 지키는 안주인의 권위를 상징했던 열쇠패, 여러겹 나무틀을 차례로 열어야 마지막 함이 열리는 상자열쇠, 그 모양이 배꼽을 닮은 함박형 자물쇠, 나무로 만들어 빗장 같은 구실을 하는 아프리카 자물쇠, 공예품처럼 장식성이 두드러진 중세 유럽의 자물쇠, 기하학 문양이 아름다운 티베트의 자물쇠 등 그 생김생김이 볼수록 마음을 잡아끈다.

"자물쇠가 무엇을 잠근다는 기능과 함께 지킨다는 주술적 뜻이 겹쳐 있어요. 쓰임새에 혼까지 더한 물건이라 더 사랑합니다. 대장간에서 쓰던 모루며 집게 같은 물건들은 또 어떻고요. 수십년 노동의 땀으로 삭은 호미 한 자루에 한 인간의 일생이 스며 있다고 저는 봅니다."

최관장의 쇠타령은 쇠예찬으로 이어진다. 쇠야말로 '햄버거 세대'에게 '보릿고개 세대'의 삶을 피부로 느끼게 하는 생활사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철물점에서 일할 때 쇠를 달구는 불꽃을 보면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의욕이 솟았어요. 담금질로 단단해지는 무쇠의 힘을 아이들에게 전해주고 싶어요. 3월에 열 첫 기획전 주제를 대장간으로 잡은 까닭입니다.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한 쇠맛을 본 사람은 평생 잊지 못하지요. 요즘 아이들에게 부족한 정서를 쇠맛으로 채워주렵니다."

쇳대박물관은 건물 외벽도 시뻘건 철판이다. 최관장은 "승효상씨가 설계한 이 작품(건물 설계도와 모형)이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됐다"고 자랑했다. 그는 "법정 스님이 '쇳대'라는 박물관 이름을 써 주셨고, 박정자.윤석화씨 같은 연극인들이 아끼던 애장품을 선뜻 내줄 때 박물관 일이 내 혼자 하는 게 아니구나 하는 걸 깨달았다"고 했다. '쇳대박물관' 탄생기는 어려운 현실에서 우리 동네 박물관 하나가 어떻게 태어났나를 보여주는 본보기다. 최관장은 "개인 박물관을 꿈꾸는 분들에게 희망을 주는 쇳대 구실을 하고 싶다"며 열쇠를 어루만졌다. 02-766-6494.

정재숙 기자
사진=김상선 기자 <ss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