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종목별로 주가 재편/김영삼정부의 증시 어떻게 될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투기억제·금리하락 간접부양 효과/안정기조 유지 자생력 중점둘 듯/대규모 국채발행 악재작용 우려
현정부의 신경제정책은 6공2기의 주가에 과연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5공 출범당시(80년 9월2일) 1백12.56이었던 종합주가지수는 6공1기때 6백30.10(88년 2월26일)으로 시작,한때 1천선이상까지 치솟기도 했으나 실물경기의 퇴조속에 거의 제자리걸음으로 원위치했고 6공2기에는 6백55.61(2월25일)로 새출발했다.
국내외 경제환경 자체가 매우 불투명하기 때문에 앞으로 주가가 오를 것인지 아니면 더 떨어질 것인지를 예상하기는 어렵고,또 위험하기도 하다.
○“경제혈맥” 강조
그러나 업종 또는 종목별로 주가가 재편되는 현상을 보일 것이라는 점에서는 대부분 증시전문가들의 견해가 모아지고 있다.
증시관계자들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 각종 신경제정책들을 살펴본다.
◇증시안정시책=김영삼대통령은 증시를 「경제의 혈맥」이라며 계속 강조해왔고 새정부하에서도 증시안정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인위적인 부양책은 증시의 자생력을 해치게 된다는 점이 6공1기때의 경험에서 분명히 드러났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잦은 부양조치(89∼92년중 17회)를 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기관투자자들이 새정부 출범직후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한 주식매수에 나서지 않았던 것도 변화의 하나라는 시각도 있다.
한편 새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동산투기억제·실세금리하락유도 등은 간접적으로 증시를 부양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이고 있다.
○금융개편 주시
◇금융정책=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금융실명제를 비롯,금융산업개편·금리자유화(2단계)·금융시장개방(3단계) 등이 줄줄이 예정돼 있고 추가금리인하여부의 결정도 당면과제다.
증시에선 이중 금융산업개편은 호재,실명제·금리자유화 등은 악재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양분법적인 이같은 단정은 섣부른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금리자유화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금리상승에 따른 기업들의 금융비용증가 등으로 증시에 악재가 될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금융산업의 효율성·경쟁력을 높여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우량기업과 그렇지못한 기업사이의 금리차별화에 따른 주가재편현상도 예상할 수 있다.
금융산업개편도 업무영역 조정에 따른 업종별 판도개편이 예상돼 호재로만은 볼 수 없다.
◇사회간접자본투자=오는 96년까지 7차5개년계획기간중 도로·항만 등 각종 기반시설조성에 39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 이미 세워져 있고 지난해 착수된 고속전철(98년까지 5조8천억원 투입)·신공항건설(2020년까지 10조원 규모) 등 굵직굵직한 사업도 남아있다. 이와 관련,건설업종의 주가가 지난해 큰 폭으로 뛰기도 했는데 앞으로 발주단계마다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영향의 폭과 깊이는 미지수며 사업기간이 긴만큼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또한 재원마련을 위한 대규모 국채발행은 증시에 악재가 될 전망이다.
◇신산업정책=상호지보규제·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 확대 등 대기업 집중억제·소유분산을 유도하는 개혁의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대기업들의 주가에는 일단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이나 적응여하에 따라서는 오히려 유리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새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을 받게될 전망이지만 이같은 시책이 과연 언제쯤 경쟁력강화·기업성장 등의 결실을 보게될지는 불투명하다.
○국제정세 변수
◇기타=유망첨단업종으로 비상한 관심을 모아온 제2이동통신과 CATV의 사업자선정도 선정·탈락여부에 따라 관련기업들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엔고·대미통상마찰·UR협상 등 각종 대외정책과제에 대한 새정부의 대응방침도 변수로 꼽히고 있고 증시내적으로는 오는 9월부터 만기(3년)가 속속 도래하는 보장형수익증권(1조5천억원 규모)의 처리문제가 시급한 관건이다.<민병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