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자 외국논문 베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사 출신의 재료공학자가 8편의 논문을 표절한 사실이 세계적인 과학잡지에 의해 밝혀졌다.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신년호는 '잘못에 대한 안이한 태도(Complacency about misconduct)'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방문연구원으로 근무하던 한국인 P씨가 1997년부터 2001년 사이 발표한 논문 가운데 8편이 러시아의 학술지 논문 등을 표절한 것으로 조사 결과 드러났다고 밝혔다.

네이처는 또 뉴스난에서 "케임브리지 물리 연구실에서 발생한 표절사건으로 가이드라인 제정이 필요하다"며 P씨가 베낀 것으로 지적한 러시아어 논문과 P씨 논문의 사진을 나란히 싣는 등 이번 사건을 비중있게 다뤘다.

이를 계기로 전세계 물리학 관련 학회 연합체인 '국제 순수 및 응용물리연합(IUPAP)'이 지난해 10월 표절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 워크숍을 개최했으며 올 가을까지 초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P씨는 연세대를 졸업한 뒤 96년 KAIST 재료공학과(현 신소재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97년부터 케임브리지대에서 박사 후 연수과정을 보냈다.

2002년 3월 금오공대에 임용되기까지 80여편의 논문을 발표해 표절 의혹이 추가로 제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네이처지의 지적이다. P씨는 2000년과 2001년 국제학술지에 게재한 두편의 논문이 표절한 것으로 밝혀지자 2002년 7월 한학기만에 사표를 제출하고 잠적한 상태다.

KAIST의 한 관계자는 "새해 벽두부터 한국 과학기술계의 이미지에 먹칠을 한 사실이 네이처에서 다뤄져 곤혹스럽다"며 "2001년 경북대 박사학위 논문 표절사건 때도 그랬듯이 국제적인 망신을 피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