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철소 ‘잰걸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2일 현대제철 임직원들이 충남 당진공장에 모여 밀폐형 원료처리시설의 착공을 알리는 발파음과 함께 자축하는 박수를 치고 있다.


  현대제철이 충남 당진에 짓고 있는 일관제철소에 신개념의 ‘환경 친화’ 시설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이 회사는 당진 공장에 철광석과 유연탄 같은 원료를 밀폐된 상태에서 처리하는 시설을 도입하기로 하고 2일 그 시설의 착공식을 했다. 밀폐형 원료처리시설은 철광석을 쌓아두는 원형 저장고 5동과 각종 연료를 섞어서 쌓아두는 선형 저장고 8동 등 총 13동이다. 원형 저장고 하나는 지름이 120m로 서울의 잠실 실내 체육관만 하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제철 원료를 건물 안에 보관하는 처리시설은 전세계 어떤 일관제철소도 해 보지 않은 새로운 시도”라고 말했다.

밀폐형 하역기와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해 선박에서부터 원료처리 시설까지 밀폐 상태로 운반할 수 있다. 바람이 심한 바닷가 입지의 제철소에서 비산 먼지가 날라다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밀폐형은 원료의 수분 함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빗물에 쓸려내려간 원료를 재처리할 설비가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다.

 정몽구 현대·기아자동차 그룹 회장은 지난해 10월 이 제철소 기공식에서 “ 첨단 환경 기술과 설비를 도입해 제철소를 짓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현대제철은 지난달 말 서울 양재동 사무소에서 독일 우데사와 코크스·화성 주 설비 계약을 했다. 이 설비는 고로에서 철광석과 섞이기 전의 유연탄을 가공할 때 나오는 가스를 정제하는 설비다. 우데사는 전세계 코크스·화성 플랜트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다. 이로써 현대제철은 4월 룩셈부르크 폴워스 사와 고로 계약을 했고, 5월 일본 JP SPCO사와 제강 설비 계약을 한 데 이어 세 번째 핵심 설비 계약을 마무리했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