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교육관 '강자와 약자' 이분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노무현 대통령의 교육관에는 '강자'와 '약자'라는 이분법적 사고가 깔려 있다. 노 대통령은 26일 있었던 토론회에서 대학 총장들에게 "나를 포함해 이 자리에 있는 분들은 모두 성공한 사람들이고 우리 사회의 강자"라며 "강자가 강자의 이익을 위한 목소리를 높이 내고 강자를 위한 정책이 일방통행할 때 우리 사회는 결국 분열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완장 찬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그 권한을 자기 이익, 집단 이익으로 환원시키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민주주의가 수백 년 동안 아직도 투쟁이라는 이름으로 갈등해 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에는 강자와 약자가 있으며, 강자들의 이기심이 사회 갈등의 핵심 요인이라는 얘기다. 대학들이 강자의 논리에만 매달려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했다.

노 대통령은 토론회에서 기자.정치인.교수를 '완장' 찬 사람이라고 지칭했다. 이들을 강자로 본 것이다. 노 대통령이 얘기하는 강자는 '좋은 학교 나오고 성공한 분'(2003년 3월 11일 기자회견, 당시 형 노견평씨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의혹이 제기된 남상국 전 대우건설 사장을 겨냥한 표현. 남 전 사장은 회견 직후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으로 설명된다.

노 대통령이 말하는 '강자'의 대표는 서울대 출신이다. 대선 후보 시절 "서울대 출신들이 특권층을 형성하고 있다"며 서울대 개혁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2005년 9월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와의 회담에서는 "서울대 다닌다는 것 자체가 기회로 여겨지는 사회에서 강남 학생이 서울대 60%라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8일 EBS 특강에서는 "서울대 안 가도 얼마든지 행복할 수 있고, 지방대학 출신이 지금 쟁쟁한 자리에 있다"며 전남대 출신의 이용섭 건교부 장관을 예로 들었다.

노 대통령은 학력 차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말을 여러 차례 했다. "1000분의 1의 수재를 꼭 뽑으려 하지 말고 100분의 1 수재를 데리고 가서 교육을 잘할 생각을 하라."(2005년 7월 편집.보도국장 초청 오찬) "시험 성적이 좋은 학생을 뽑으려는 대학의 욕심이 공교육의 근간을 흔들어서 안 된다."(2005년 5월 교사들에게 보낸 e-메일)

한양대 정진곤 교수는 "노 대통령은 '공부를 잘하면 얼마나 잘하겠느냐'는 개인의 능력 차를 무시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며 "이는 국가가 경쟁력 있는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위험한 발상"이라고 말했다.

이상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