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국가주관체제 필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교통사고환자. 심근경색·뇌졸중과 같은 응급처치를 요하는 질환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응급의료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으나 기존의 응급의료체계는 이에 미치지 못해 국민적인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올 들어도 설날연휴사이 리어카를 몰던 전 모씨가 4개 병원을 전전하다 숨지는 등 응급환자의 진료거부로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몇 차례 발생하면서 이제 응급의료문제는 더 이상 방치해 둘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있다.
대한병원협회는 26∼27일 서울여의도 63빌딩에서「병원의 응급의료체계,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응급의학전문의·병원경영자·소비자단체·보사 당국 자 등 이 총망라해 참가하는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날 대회에서 주제발표를 하는 왈레스 기념침례병원 응급의학과장 황정연 박사는 미리 배포한 주제발표문을 통해『응급처치는 현장에서부터 치료가 시작돼 후송시도 지속적으로 치료가 돼야 하므로 병원만이 응급의료체계를 해결하는 유일한 기관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즉 ▲응급처치교육 ▲즉시 이용 가능한 통신체계 ▲현장과 후송 시 치료 가능한 수송수단 ▲병원의 수준 높은 시설과 인력 및 장비 등 이 기본요소로 체계를 이뤄야만 응급의료가 제대로 실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응급의료체계와 관련, 국가시책에 대해 발표하는 보사부 박윤형 지역의료과장은『응급의료체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응급의료관련 진료수가를 인상, 민간투자가 유발되도록 하거나 정부의 공공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며 『응급실 투자에 대한 추가보상책과 지불능력이 없는 환자를 위한 응급의료 기금 등 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선진국의 예를 보면 미국의 경우 응급의료체계는 전적으로 주 정부에서, 일본도 소방 청에서 통신망과 구급차를 관장하고 있는 등 치안·소방문제와 함께 국가가 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소비자입장에서 발표한「소비자문제를 생각하는 시민의 모임」김재옥 사무처장은 『의료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여러 가지 원인이 제시되지만 결국은 병원의 지나친 영리추구에서부터 문제는 발생한다』며 병원의 시설확충과 의료인들의 의식개혁을 촉구했다. <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