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거래 사실상 중단/진품확인 은행내서도 혼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기업들 자금조달에 큰 차질
가짜 CD(양도성예금증서) 발견,자살한 은행지점장의 공(돈이 입금되지 않은) CD발행 등 CD관련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이 사후수습에도 책임회피적인 태도를 보여 더욱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17일 유통수익률이 연 14.5%까지 치솟았던 CD는 18일 「사자」가 자취를 감춰 시세가 거의 형성되지 않고 있고 채권도 회사채수익률이 또다시 소폭 오른 가운데 금융·통화채는 거래가 끊기는 등 금융시장 전체가 경직되고 있다.
기업들은 특히 은행에서 꺾기 등으로 받은 CD를 팔지못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금융비용 부담을 높이는 새로운 요인이 되고 있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CD의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고객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으나 은행에 따라 또는 같은 은행안에서도 지점에 따라 확인을 해주는 곳이 있고 안해주는 곳이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단자사 등 CD 유통시장에서는 진품임을 확인하는 은행측의 도장이 찍힌 CD만이 거래될 뿐 이를 받지 못한 CD들은 돌지못해 거래가 사실상 중단된 가운데 기업들이 이를 팔지 못하는 등 자금계획에 큰 차질을 빚게하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현재 CD를 발행한 지점에 직접 들고가서 뒷면 또는 별도용지에 CD에 찍힌 발행자의 도장과 똑같은 날인을 받아야만 유통되는 등 비정상적인 거래관행이 생겨나고 있는데 제일·동화·신한 등 일부은행들은 확인을 잘 해주고 있지만 상당수의 은행들은 이를 거부하고 있고 상업은행 등은 지점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발행번호까지 위조했을 경우 만기가 돼봐야 알 수 있다』는 것이 거부이유로 이들 은행들도 구두확인정도는 해주고 있으나 이는 유통시장에서는 아무 쓸모가 없는 실정으로 은행들이 스스로 신용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현재 CD발행잔고는 14조7천억원에 이르고 있는데 증권사와 개인이 각각 1조원 가량씩을 갖고 있고 나머지는 기관투자가 및 일반회사들이 보유중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