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명시적 담합 있다"vs언론계 "공무원 제대로 했으면"

중앙일보

입력

노무현 대통령이 자신의 '기자실에 죽치고 앉아 담합한다'는 발언과 관련해 "지금도 명시적 담합이 있는 것 아닌가. 그 때 그렇게 이야기를 한 것은 기사의 획일성이 발생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지 기사 하나를 놓고 담합한다고 생각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은 17일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을 둘러싼 '노무현 대통령 언론인과의 대화'에서 정일용 한국기자협회 회장의 '지금도 죽치고 앉아 담합한다 생각하나'라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노 대통령은 "한국사회에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 획일성 또는 어떤 사물을 기사화할 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전염한다"라고 주장했다.

노 대통령은 "(기사를 보면)모든 문제들을 정략적으로 본다든지 정책의 옳고 그름을 떠나 속셈이 무엇이냐라고 계산한다든지 이런 병폐들이 있다"라며 "기자실 안에서 전염되는 현상을 포괄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노 대통령은 또 "가장 유감스러운 것은 정부 이야기를 안실어 준다는 것"이라면서 "오죽 답답하면 여기에 나와 토론하고 있겠나"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정부와 대통령이 할 수 있는 것은 국정브리핑에 정부 입장을 실는 것 외에 없다. 변명과 정당성을 주장할 수도 없다"라고 덧붙였다.

정일용 회장은 "제목대로 취재지원 선진화방안인지 의구심이 든다는 목소리들이 많다. 현장에서는 기자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면서 "오히려 정부방안은 (선진화에 비해)역행하는 퇴행적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김환균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장은 "핵심은 정부가 설명하는 것처럼 정보 공개.확대 그리고 정부 품질 개선이 아니라 정보의 차단을 결과할지 모른다는 우려다"라며 "방안이 민주적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참여정부 답게 결과만의 공유가 아니라 과정의 참여가 보장돼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따졌다.

오연호 한국인터넷신문협회장은 "지난 2003년 개방형 브리핑제를 실시했다. 사실 그때 제대로 실현됐다면 오늘 이런 논의가 없어도 된다"라며 "잘 안돼서 2차 개혁한다는 것 같은데 공무원들이 제대로 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싶다"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