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가 「매수우위지침」 지속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단기과열때 부작용 우려/경직된 증시정책 풀어야
최근 계속된 폭등세를 타고 연중 최고치에 다가섰던 주가를 경계매물이 잡시 끌어내리고 있는 가운데 8·24증시대책의 골간인 「기관투자가의 매수우위」 지침을 언제까지 끌고 갈 것이냐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은행·보험·투신 등 기관투자가들은 주가가 연중 최고치까지 접근한 마당에 정부가 기관투자가들이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을 매일 점검해가며 매수우위를 지키도록할 명분이 약해지지 않았느냐는 입장을 조심스럽게 표명하기 시작했다. 또 전문가들은 대통령 선거가 아직도 한달남짓 남은 시점에서 정부의 금융·증권정책이 증시의 「단기과열」을 초래한다면 이 또한 부작용이 클 것이므로 매수우위 일변도의 경직적인 정책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증시의 안정을 꾀한다는 기관투자가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10일 전장에 주가가 16.42%포인트나 폭락한 것도 최근 5일새 기관의 매수우위를 바탕으로 주가를 80포인트이상이나 급히 띄워올린 단기과열장세의 후유증이다.
이 문제는 최근 국회에서도 거론됐는데 증권당국은 지침을 풀 경우 기관들이 대량 매물을 내놓아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걱정만 앞세울 뿐 증시 단기과열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애써 쉬쉬하고 있다.
최근의 주가 급등세는 전체 상장주식의 30% 정도를 갖고 있는 기관투자가들로 하여금 판 주식보다는 사들인 주식이 많도록 묶어놓은 상태에서 외국인의 주식매입자금이 급속히 유입되고 금리하락에 따라 금융기관과 개인의 여유자금이 몰려들어 금융주와 국민주를 중심으로 주가를 들어올리는 전형적인 금융장세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당국은 스스로도 내부적으로는 최근의 주가급등이 단기과열이라고 진단하면서도 기관의 매수우위 지침을 풀 경우 주가하락에 대한 일반투자자들의 비난은 물론 대통령선거를 앞둔 정치권의 주가 안정요구가 다시 쏟아질 것을 우려하는 눈치다. 증시의 한 관계자는 『기관투자가들이 주가하락을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증시 단기과열을 막는 것도 주가안정의 하나』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