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토론방] 의제 : 모든 학생이 의무적으로 봉사 활동을 해야 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찬성 : 신동윤 (구룡중1)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봉사 활동을 열심히 하면 어른이 돼서도 봉사 활동에 관심을 갖고 실천 의지가 생길 것이다. 쓰레기를 줍고 청소를 하는 것만으로도 봉사 활동의 의미를 배울 수 있고 동사무소나 관공서 또는 장애인 시설의 바쁜 일손을 도와드리면서 그곳의 사정을 알 수 있다.](A) [이러한 봉사 활동을 해서 좋은 이유는 혼자서 하는 것보다는 여럿이서 하는 게 더 효과적이고 의무적으로 함으로써 봉사 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게 할 수 있다.](B)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청소나 남을 돕는 일을 많이 하진 않을 것이다. 시간 관리를 잘할 수 없어 여가 시간과 공부 시간을 스스로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자발적으로 봉사 활동을 맡기기보다는 의무적으로 실천하게 해 스스로에게 책임감과 실천 의지와 봉사 활동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C)

반대 : 신동준 (구룡중1)

 나는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봉사 활동을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봉사 활동을 의무적으로 하게 된다면 학생들의 불만이 많아질 것이고 그러면 봉사 활동을 대충대충 하게 되기 때문에 봉사 활동을 하나 마나 똑같을 것이다. 그러면 아까운 시간만 버리는 것이 되기 때문에 차라리 그 시간에 공부를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D)
 [그리고 지금 봉사 활동을 안 해도 나중에도 충분히 봉사 활동에 관심을 갖고 실천 의지가 생길 수 있으며 동사무소나 관공서 또는 장애인 시설의 바쁜 일손을 도와드리지 않아도 전화나 인터넷을 이용해 그곳의 사정을 알 수 있다.](E)
 따라서 나는 의무적으로 봉사 활동을 해서 일을 대충 하고 공부도 못 하는 것보다 차라리 봉사 활동을 안 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총평

동윤 학생은 봉사 활동의 의무에 대해 (A) 봉사활동 자체가 좋은 이유, 그리고 (C) 의무화가 좋은 이유의 순서로 의견을 전개했다.
좋은 논거나 푯말(flag-posting) 역할을 하는 소개 문장 혹은 문구를 통해 독자가 논거들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럿이서 하면 더 효과적이다’라는 (B) 문장에서 새로운 논거를 제시하려거나 (A)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제시하는 듯하다가 갑자기 (C)에서 의무화에 대한 내용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러한 문장 대신 (A)를 마무리짓거나 (C)를 소개하는 명확한 문장이 있다면 논리적인 흐름에 있어서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동준 학생은 (D)에서 두 가지 논거를 한꺼번에 제시하려 한다. 먼저 ‘의무적’이라는 특성 때문에 자발적인 마음을 갖게 해주지 못한다는 점과 그 시간에 공부를 못 한다는 기회비용 이론이다. 좀 더 논리적인 의견 전개를 위해서는 일단 ‘대충’ 하게 된다는 점에 대한 증거를 들고 정책이 의도한 바를 정책의 기본 특성상 이루지 못한다는 점을 정립하고, 그 후 변질된 봉사 활동과 공부의 이익을 비교·분석하면 좋을 것이다. (E) 역시 주장하는 바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다. 성인이 되어서라도 의무적으로 하게 하자는 것인지 (그렇다면 ‘의무적’인 특성에 대한 위의 의견과 모순이 된다) 아니면 단순히 상황 파악만 하면 된다는 것인지 (그렇다면 이는 봉사 활동의 주요 취지에 대한 반박은 아닌 것 같다) 명확하게 주장하고 이에 대한 근거ㆍ증거를 들어야 할 것이다.

 죠슈아 박 한국토론협회장 국가청소년위 자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