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폭행' 늑장수사 의혹 이번 주말부터 감찰 시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서울경찰청은 14일 김 회장이 사건 당일(3월 8일) 청담동 G가라오케에 갔을 때 S클럽 종업원이 4명만 있는 것을 보고 "아들을 폭행했던 일행을 다 데려오라"고 지시하자 김 감사가 폭행사건과 무관한 술집 종업원 4명을 매수해 데려왔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 이들 4명에게 지급한 돈의 액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김 감사는 평소 한화그룹 김모 비서실장 및 범서방파 행동대장 오모씨와 친분이 두터웠던 점에 비춰 이들 두 명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찰은 보고 있다. 통화내역 조회 결과 김 감사는 폭행현장 세 곳에 모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김 회장에 대한 영장실질심사에서 제기된 '합의금 80억원 요구설'과 관련, 경찰은 피해자들에게 물어봤지만 "죽어도 80억원을 요구한 적이 없다"는 대답을 들었다고 밝혔다. 경찰은 15일 피해자들을 소환해 정식 조사키로 했다.

?곧 대대적 감찰 착수=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폭행 사건에서 논란이 된 경찰의 부실수사에 대해 대대적인 감찰이 시작된다. 경찰청 관계자는 14일 "사건을 18일께 검찰로 송치한 뒤 본격적인 감찰에 들어가기 위해 기초자료를 수집 중"이라고 밝혔다.

감찰 대상은 서울 남대문경찰서.남대문서 태평로지구대.서울지방경찰청.서울청 광역수사대(광수대) 등이다. 3월 9일 112 신고 접수 이후 4월 24일 언론에 알려지기까지의 김 회장 사건처리 과정도 포함된다.

감찰팀은 사건 발생 직후인 3월 9일 직후 김 회장 폭행에 관한 소문이 북창동 일대에 퍼졌는데도 경찰이 11일이나 지난 3월 20일 이를 '공식적으로' 파악한 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북창동 상인들은 "사건 다음 날부터 경찰이 탐문했다"고 말하고 있다.

장희곤 남대문서장은 "원래 민생치안은 별로 안 다루고 경호.경비 업무만 90% 정도"라고 말했다. 남대문서의 수사력이 광역수사대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그런데도 첩보를 입수하고 조사한 서울청 광역수사대 대신 남대문서가 사건을 맡게 된 경위가 석연찮다는 게 감찰팀의 판단이다.

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