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이슈] 웹 2.0에도 거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웹 2.0은 '거품 2.0'이 될 것인가.

요즘 미국 실리콘 밸리의 인터넷 기업에 대한 투자 열풍이 불면서 2000년 초 정보기술(IT) 붕괴 때와 같은 거품 경고가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FT)의 1일자 보도 내용이다.

그런데 이번 거품의 양상과 규모는 2000년 때와 다소 다르다. 첫 거품 때는 투자자들이 인터넷 기업의 종류를 가리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엔 웹 2.0 기업에 대한 투자가 중심이다. 유튜브와 같은 사용자제작 콘텐트(UCC) 사이트 업체들이 대상이다. 과거 거품에 비해 투자액도 상대적으로 작다. FT는 뉴스코퍼레이션이 커뮤니티 사이트 '마이스페이스닷컴'을 5억8000만 달러에, 구글이 유튜브를 16억5000만 달러에 인수한 것이 웹 2.0 기업에 대한 투자에 불을 붙였다고 풀이했다. 사이트 하나 잘 키우고 투자하면 큰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웹 2.0 기업에 대한 투자 열풍은 무엇보다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한다. 여기에 새로운 기술에 대한 낙관론이 불을 지핀다. 인터넷 사이트들도 외부 자금을 끌어들이는 데 열심이다.

인터넷은 눈길을 끌어야 성공하고 성공이 또 다른 성공으로 이어지는데, 사이트를 제대로 운영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하고 수익도 미미하기 때문이다. 2002년 40억 달러의 돈을 끌어 모았던 미 벤처 캐피털 업체들은 지난해 300억 달러가 넘는 자금을 조성했다. 이 자금이 실리콘 밸리로 들어간다. 2005년 약 500개의 웹 2.0 기업이 32억 달러의 투자를 받았는데, 지난해에는 700개사가 40억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올해는 더욱 늘 것으로 예상된다. "돈이 떨어져야 투자가 멈출 것"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문제는 수없이 많은 사이트가 웹 2.0을 표방하며 생겨나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줄 만한 업체를 찾기가 쉽지 않음에도 유행처럼 웹 2.0 기업 투자가 줄을 잇는 것이다. 벤처 캐피털 업체조차도 "비슷한 성격의 사이트들이 너무 많다"고 업체 선정에 어려움을 표시한다. 스파크 캐피털의 토드 다그레스 이사는 "결국 상당수의 투자자가 돈을 잃을 것"으로 전망했다.

염태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