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에 대한 정부 대책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호 13면

정부는 지난달 환경부와 소방방재청 등 14개 기관 합동으로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지난해 내놓은 대책과 비교할 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재난관리 차원에서 황사 대응체계를 마련하기로 한 점이다. 이를 위해 태풍과 대설(大雪) 등 재해별로 예방ㆍ대응시스템을 구축하는 국가안전관리 기본계획에 황사도 포함됐다.

2월부터는 황사특보 발령 기준도 강화했다. 주의보는 ㎥당 미세먼지 농도가 500㎍ 이상에서 400㎍ 이상으로, 경보는 1000㎍ 이상에서 800㎍ 이상으로 강화됐다. 주의보나 경보를 더 빨리 발령,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급선무는 황사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다. 기상청은 지난해 4월 중국에 황사협력조사단을 파견했고, 12월에는 기상청장이 직접 중국과 몽골을 방문했다. 올봄에는 아예 기상청 관계자를 중국에 상주시키고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중국 내 황사 발원지와 이동 경로에 지난 1년간 황사관측소 10여 곳을 추가로 설치했다. 몽골에도 내년까지 황사 감시탑을 우리 돈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기상청은 또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 등 북한 내에도 황사 관측장비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남한과 가깝기 때문에 황사 조기경보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황사 예측 모델 개발 등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지난 2월 기상청은 서울에 황사가 닥칠 것으로 예보했으나, 황사가 서해로 비켜 남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바람의 방향이 달라질 것을 예측하지 못한 것이다. 인공위성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황사의 농도 역시 실제와 달랐다.

기상청 측은 “지난달 새로운 황사 예측 모델을 도입한 만큼 지난해 57%였던 황사 예보 정확도가 올해는 60%로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