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관세구조 한국에 불리/경쟁력 있는 제품에 고율 적용 수입억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KIEP 지적
일본의 관세율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이나 우리나라에는 매우 불리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는 선진국의 교역장벽 연구시리즈의 하나로 낸 「일본의 무역장벽」(유진수 박사)에서 일본의 평균관세 부담률은 3.4%로 미국(3.8%),EC(3.9%)보다 더 낮지만 우리나라 제품이 경쟁력을 갖지못한 부문에는 낮은 관세율이 적용되는 반면 경쟁력이 있는 부문은 높은 관세울이 적용돼 우리나라에는 매우 불리한 관세구조를 갖고있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관세율이 대부분 60%에 이르는 가죽신발류를 비롯,가방(대부분 10∼20%)·가죽의류(12.5∼20%) 등은 관세율 인하가 이루어질 경우 단기적으로 수출증대의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고 밝히고 관세인하가 어렵더라도 현재 매우 적게 책정되어 있는 특혜관세 적용한도액과 관세할당량을 늘리는 것만으로도 우리 기업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또 일본은 매우 복잡한 수입절차 제도와 까다로운 보건·안전규정을 갖고있으며 이러한 비관세 조치들이 대일수출을 지연·억제시키고 수출업체에 불필요한 업무를 부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같은 비관세 조치의 시정을 위해서는 정부간의 협의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